50세 이상 직원은 12.5%나 증가…비중은 4.2% 상승
삼성전자, 30세 미만 직원 가장 많이 줄었는데도 비중 제일 높아
![]() |
↑ 삼성전자 직원들이 점심식사를 하기 위해 나오고 있는 모습. / 사진 = 매일경제 |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청년 신규 채용이 감소하면서 직원 고령화가 심화됐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기업분석 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는 이러한 내용이 담긴 주요 기업의 직원 연령대별 분포 변화 분석 결과를 21일 공개했습니다.
리더스인덱스는 '2021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한 72개 기업 중 연령대별 직원수를 공개한 27개 주요 대기업들의 2019~2021년 연령대별 직원 분포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30세 미만 청년층 직원이 2019년 16만 4,677명에서 지난해 12만 6,344명으로 3만 8,533명(23.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직원에서 30세 미만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보다 6.0%p 감소한 23.5%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이들 대기업의 50세 이상 직원은 3년 전 13만 6.081명에서 지난해 15만 3,131명으로 1만 7,050명(12.5%)이나 증가했습니다.
전체 직원에서 50세 이상 직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24.2%에서 28.4%로 4.2%p가 상승하며 30세 미만 비중(23.4%)를 앞질렀습니다.
기업의 주요 인력인 30세~50세 직원들은 2019년 26만 488명에서 지난해 25만 9,602명으로 856명(0.3%)이나 감소했습니다. 다만 전체 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p 증가했습니다.
연구소 측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청년 신규채용이 줄어들면서 '직원 고령화'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 |
↑ 서울 서초구 삼성 서초 사옥 / 사진 = 매일경제 |
30세 미만 직원 수와 비중이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삼성전자로 2019년 12만 4,442명에서 지난해 8만 9,911명으로 무려 3만 4,531명(27.7%)이나 줄어들었습니다
전체 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3.3%에서 33.7%로 9.6%p 감소한 것으로 나
조사대상 기업 중 50세 이상 직원 비중이 가장 높은 기업은 기아(53.2%), 현대일렉트릭(44.6%), 현대자동차(44.2%), 롯데쇼핑(40.3%) 순입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부 기자 chldbskcjstk@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