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오른쪽)와 서흥남 한국특수가스 대표가 15일 이산화탄소 포집, 활용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 금호석유화학] |
금호석유화학은 업무협약에 따라 2024년까지 여수국가 산업단지에 위치한 열병합발전소에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연간 7만t 규모의 CCUS 설비를 구축하기로 했다. 발전소의 스팀·전기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만을 선택적으로 포집하는 방식이다. 한국특수가스는 CCUS 설비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액화탄산으로 재탄생시켜 탄산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다.
금호석유화학 관계자는 "이번 CCUS사업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는 매년 2만6000여 그루의 나무를 새로 심는 것과 같다"며 "이는 성인 기준 매년 약 18만명에게 필요한 산소량과 맞먹는다"고 밝혔다.
금호석유화학은 CCUS 사업과 함께 제품 생애주기를 고려한 간접적 온실가스 감축에도 주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화학적 재활용 스타이렌(RSM)을 타이어용 합성고무(SSBR)에 적용한 Eco-SSBR과 바이오 실리카를 적용한 친환경 고무 복합체 등 친환경 소재 관련 투자를 점차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여기서 나아가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면서 궁극적으로 금호석유화학의 2050 탄소중립 성장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는 "앞으로도 탄소중립 실천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사업에 적극 투자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이산화탄소를 부가가치가 높은 다른 탄소화합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도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성장 가치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호석유화학과 손잡은 한국특수가스는 한국중부발전 보령화력본부의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를 위탁 운영하고 있으며, 운전 노하우·액화탄산가스 판매
서흥남 한국특수가스 대표는 "국내 유일의 상용급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 운전 경험과 가스 판매 역량을 바탕으로 금호석유화학과 함께 윈윈할 수 있는 CCUS 사업을 만드는 데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박윤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