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주전 동판 유물 [사진 = 수도문물연구원] |
14일 국립중앙과학관은 자격루에서 동력을 전달하고 시각조절 역할을 하는 주전을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자격루는 물의 양과 유속을 조절하는 수량제어부분과 움직임을 통해 시간을 알리는 자동시보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물의 양에 따라 일정한 시각마다 구슬을 방출시켜 동력을 전달하고 시각을 조절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번에 복원한 주전시스템이 이 부분을 담당하는 장치다.
![]() |
↑ 주전시스템 적용 중종보루각 복원 설계 |
이석래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지난해 서울 인사동에서 과학 유물을 발굴한 성과에 이어, 미제로 남아있던 자격루의 주전시스템을 밝히게 된 것이 이번 연구의 의의"라고 밝혔다.
현재 국립
이 관장은 "자격루의 구슬신호 발생에 대한 핵심 과학원리를 국민들게 보여줄 수 있는 전시기법을 강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희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