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앞줄 왼쪽에서 여섯번째부터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한무경 국민의힘 국회의원,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이정한 한국여성경제인협회 회장. [사진 제공 = 여성경제인협회] |
6일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여성창업 정책 대전환 토론회'에서는 여성 기술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이 등장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비롯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이정한 한국여성경제인협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 장관은 이날 축사를 통해 "지난해 전체 기업에서 여성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40%대에 이르렀지만 여성기업의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 여성기업이 창출하는 고용 비중은 30%에 불과했다"며 "여성기업을 양적인 측면뿐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성장시킬 수 있을지 고민하겠다"고 전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특히 기술창업 부문에서 여성 창업가들이 많아져야 한다는 데 목소리를 모았다. 이를 위해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첫번째 발제자로 나선 강지영 로보아르테 대표는 "규모가 크지 않아도 기술 부문에서 창업하는 여성 기업인들을 위한 특화 펀드가 조성된다면 투자가 이뤄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경영학을 전공한 강 대표는 치킨을 튀겨주는 로봇 '롸버트치킨'을 개발한 기술 창업가다.
강 대표는 "'롸버트치킨'이 탄생할 수 있었던 건 '초기창업패키지' 등 많은 정부 사업들을 거치며 지원을 받았던 덕분"이라며 "기술자 출신의 기혼 여성이 재취업을 시도할 때 '기술창업'이라는 옵션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이들을 인큐베이
강 대표에 이어 발제자로 나선 김영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여성기업 특성을 이해하는 전담 AC와 펀드 등이 조성돼야 하고, 패키지적인 지원보다는 실제 기술창업을 한 여성기업의 수요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유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