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국내외적으로 급변하는 메가 트렌드와 경제사회 전환 과정에서 나타날 농업·농촌 분야의 위협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또한 기회 요인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과 실천방안에 대해서도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첫날은 ▲강원도 평창의 농업 연계 그린바이오산업 활성화 방향과 과제 ▲디지털 시대 신정부 농정 방향과 과제 ▲다자경제협력 시대 한국 농업의 미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청년 창업과 농업·농촌의 미래 세션이 열린다. 둘째날은 ▲취약계층을 위한 먹거리 지원정책 추진방향 ▲논문발표 1분과(생산·경영분야) ▲2분과(무역·국제협력분야) ▲3분과(농촌·복지분야) ▲4분과(기후·환경분야) ▲
임정빈 한국농업경제학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새 정부의 농정 방향과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한국 농업·농촌의 발전을 위한 의미있는 토론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혁훈 농업전문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