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롯데케미칼이 여수공장에서 운영중 탄소 포집 활용(CCU) 실증설비 [사진 제공= 롯데케미칼] |
롯데케미칼은 지난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탄소 포집·활용(CCU) 분야 국책과제에 참여하는 12개 기관 중 공동연구기관으로 선정돼 협약을 체결한바 있다. 국책과제 공동 연구를 통해 롯데케미칼은 기존 보유하고 있는 기체분리막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이번 과제의 결과물인 하이브리드 이산화탄소 포집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추후 관련 설비 설치 시 이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과제는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식 이산화탄소 포집 액화공정의 최적화·실증'으로, 하루 100t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활용하는 공정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평택수소특화지구에서 현장 실증을 거친 후 연간 100만t급 상용화 공정 설계수행을 통해 기술내재화를 목표로 한다.
하이브리드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에는 기체분리막을 이용한 막분리법, 흡수제를 이용한 습식법, VSA(Vacuum Swing Adsorption)법이 적용될 예정이다. 각각의 포집법은 블루수소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특성에 따라 최적화 기술을 개발해 향후 블루수소 생산 효율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롯데케미칼은 이번 과제에서 기체분리막 탄소포집 기술을 담당한다. 롯데케미칼이 보유한 기체분리막 탄소 포집·활용 기술을 활용해 블루수소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배가스를 대상으로 하는 기술 개발을 진행한다. 또한 액화 공정 중 손실되는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재회수하는 데까지 기술을 확대해 블루수소 생산 경쟁력을 강화한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3월 여수 1공장에서 국내 화학업체 최초로 기체분리막 탄소 포집·활용 파일럿 설비를 설치하고 9개월 간의 실증 운영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탄소 포집용 기체분리막의 성능 검증을 완료했으며, 실증 과정에서 수집, 분석한 데이터·운전 기술을 바탕으로 대산공장에 글로벌 화학사 중 처음으로 분리막 탄소포집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번 국책과제 참여를 통해 롯데케미칼은 블루수소 생산분야의 탄소포집 기술까지 확보해 친환경 수소 성장 로드맵(Every step for H2) 실현에 한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확보한 하이브리드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을 바탕으로 롯데케미칼은 기존에 보유한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을 더욱 고도화하고 높은 효율성을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기존·신규 설비에 적절한 기술을 적용해 경제성을 극대화하고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는 "롯데케미칼의 기체분리막 탄소포집 기술이 이번 과제를 통해 블루수소 생산 현장까지 활용되는 것에 의의가 있다"며 "롯데케미칼은 해당 기술의 추가 연구를 통해 활용도를 확대함으로써 탄소 중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분야별 최적의 국내·외 우수 대학, 연구기관, 기업들과의 오픈이노베이션 연구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수소, 탄소중립, 배터리, 바이오 등 미래사업 역량을 빠르게 확보해 속도감 있는 사업화를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 1월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 기술확보와 인재발굴을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함께 '탄소중
[박윤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