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NYSE 입회장의 트레이더. / 사진=연합뉴스 |
뉴욕증시는 내구재 수주가 견조하게 나왔음에도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 지속에 지난주의 반등 흐름을 이어가지 못했습니다.
미 동부시간 27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2.42포인트(0.20%) 하락한 31,438.26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1.63포인트(0.30%) 떨어진 3,900.11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83.07포인트(0.72%) 밀린 11,524.55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S&P500지수는 약세장에 진입한 이후 지난 17일 저점 이후 7% 이상 반등했습니다. 나스닥 지수도 같은 기간 9%가량 올랐습니다. 3대 지수는 지난주 기술적 반등에 4주 만에 오름세로 돌아섰으나 이번 주 이러한 흐름을 이어가지는 못했습니다.
올해 5월 미국 내구재(3년 이상 사용 가능한 제품) 수주가 월가 예상치를 웃도는 증가세를 보여 경기가 여전히 견조함을 시사했습니다.
그러나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상무부가 발표한 5월 내구재 수주 실적은 전월 대비 19억 달러(0.7%) 증가한 2천672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0.2% 증가보다도 많았으며 전달 증가율인 0.4% 증가보다 높아졌습니다.
이번 주 30일에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5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발표됩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집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5월 근원 PCE 가격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7%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월가 예상치에 부합하면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3개월 연속 하락하게 됩니다.
물가 상승세가 고점에 이르렀다는 판단이 나올 경우 주가가 반등을 모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주가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릴 촉매제가 부족하다고 지적했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는 CNBC에 시장을 움직일 명확한 "촉매제가 없다"라며 이 때문에 "종잡을 수 없는 시장"이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종류의 약세장 랠리에서는 (주가 흐름은) 너무 과매도됐고, 너무 부정적이었던 것에 대한 (반작용이다)"라며 그러나 "이는 스스로 랠리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다"라고 말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