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공기관이나 병원이 보유한 암 관련 데이터의 통합을 본격 추진한다. 각 기관에 흩어져 있던 건강검진, 건강보험 청구, 사망 원인 등 각종 데이터를 한데 모아 암 관련 연구의 속도를 높인다는 취지다.
보건복지부는 통계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암센터, 한국보건의료정보원과 2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K-CURE 임상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 협력을 위한 공공기관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K-CURE는 암을 비롯한 질병의 임상 데이터를 연계·결합하는 시스템이다. 사망 원인 정보 등 각종 의료 데이터가 관리 대상이다. 결합된 데이터는 연구자들에게 개방된다. 복지부는 심층적인 암 연구를 위해 올해부터 오는 2025년까지 K-CURE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암 환자와 관련된 공공·민간 데이터의 통합 활용 체계를 마련하는 내용을 담았다. 복지부는 사업 주관부처로서 한국인이 많이 걸리는 암 10종에 대해 공공·민간 데이터를 구축하는 등 사업 전반을 총괄한다. 통계청은 암 환자의 생애주기 연구에 필수적인 사망 원인 정보를 제공하고, 데이터 결합을 돕는다.
건보공단과 심평원은 데이터 제공 기관으로서 각종 데이터를 비식별화 조치해 국립암센터에 제공한다. 보건의료정보원은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K-CURE 포털과 의료 데이터 안심 활용 센터를 운영한다.
이기일 복지부 제2차관은 "암 질환 극복을 위한 연구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이희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