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과 G5 연간평균급여 상승률 비교 <자료=한국경제연구원> |
26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우리나라와 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 등 주요 5개국의 노동비용 증가 추이를 비교한 결과 지난 20년(2000~2020년)간 한국의 임금근로자 1인장 연간 평균급여 상승률이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등 G5국가 평균 상승률의 2.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의 1인당 연간 평균 급여는 2000년 2만9238달러에서 2020년 4만1960달러로 43.5%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G5의 1인당 연간 평균 급여는 4만3661달러에서 5만876달러로 16.5% 늘었다. 최근 20년 동안 우리나라의 임금 상승률이 G5 평균의 2.6배에 달하는 것이다. 급여는 2020년 기준 PPP(구매력평가)를 토대로 전일제 환산 기준으로 산출했다.
우리나라의 임금상승률 순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인구가 3000만명 이상인 국가 11곳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5의 경우 미국 4위, 독일 5위, 프랑스 6위 영국 7위, 일본 9위순으로 상승률이 높다.
![]() |
↑ 한국의 제조업 노동생산성과 노동비용 증가율 <자료=한국경제연구원> |
이밖에도 한경연은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매출액·영업이익·급여자료가 모두 있는 우리나라 상장사 1369곳의 인건비 증가율은 54.5%로, 같은 기간 매출액 증가율(17.7%)의 3.1배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인건비가 늘어난 것은 직원 규모가 증가한 영향도 있지만, 같은 기간 직원 수는 2011년 119만6000명에서 지난해 125만2000명으로 4.7% 증가한 것에 불과해 인건비 증가율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봤다.
김용춘 한경연 고용정책팀장은 "우리나라는 주요국에 비해 경직적인
[박동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