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17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오는 7월 4일부터 파일럿 형태로 근무제 운영을 시작한다. 임직원이 원하는 장소에서 자유롭게 근무하도록 하되 동료와의 협업을 위해 오후 2~5시를 코어 타임으로 운영한다.
온라인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주 1회 오프라인 만남을 '권장'하고, 임직원이 다양한 방법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음성 채널 활용도 권장하기로 했다.
이밖에 함께 일하고 쉬는 문화를 만들어 조직 생산성 높이기 위해 '격주 놀금' 제도를 운영한다. 격주 단위로 금요일을 쉬는 날로 지정해 주 4일만 근무하는 제도다.
또 만 3년 근무한 임직원을 대상으로 휴가 30일을 제공하는 '안식리프레시' 휴가 제도는 그대로 유지된다.
카카오는 근무제 파일럿 기간 중 근무 형태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임직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해 근무 제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파일럿 과정을 거쳐 내년 1월 정식 시행하는 것이 목표다.
![]()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직원들은 주3일 사무실에 출근하는 '타입O'와 전일 원격근무를 기반으로 하는 '타입R' 등 두 가지 중 하나를 골라 근무할 수 있고, 반기에 한 번씩 근무 형태를 바꿀 수 있다.
타입O를 선택할 경우 출근하는 날짜를 원하는 대로 바꾸거나 이번 주에 5일 출근했다면 다음 주 내내 회사로 나올 필요 없이 재택이 가능하다. 타입R를 선택했더라도 사무실에 출근해 회사 측이 제공한 공용 좌석에서 일하면 된다.
이에 더해 워케이션 제도와 과로 방지 셧다운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워케이션 제도는 일본 도쿄, 강원도 춘천 등 네이버가 운영하는 거점 오피스에서 최대 4박5일 동안 일하면서 휴양을 즐길 수 있다. 매주 추첨으로 워케이션을 누릴 10명을 선정할 계획이다.
더불어 네이버는 '셧다운제
또 임신한 직원들을 위해 출산 예정일 150일 이전 임신부 등록을 하면 50만원의 장려금도 지급한다.
[김우현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