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1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전일 오후 4시 기준 전국 주유소의 경유 평균 판매가는 L당 2112.5원을 기록했다. 휘발유 가격은 L당 2104.63원이었다.
국내 경유 가격은 지난달 12일 1953.29원을 기록하며 기존 최고가인 2008년 7월 16일 1947.74원을 뛰어 넘었다. 이후 한 달 넘게 매일 최고가를 경신 중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경유 가격은 휘발유 가격을 넘어선 상태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지난 11일 2064.59원을 기록하면서 10년 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종전 기록은 2012년 4월 18일 2062.55원이었다.
올해 1월 1일 당시 각각 L당 1442.42원과 1623.79원을 기록했던 국내 경유와 휘발유 가격은 5개월여 만에 670원과 480원 넘게 뛰었다. 연초 대비 상승률을 보면, 경유(46.5%)가 휘발유(29.6%)보다 높다.
지난 2020년 5월 평균 경유 판매가인 1065.79원과 비교하면 2년여 만에 2배 수준으로 상승했다.
국내에서는 보통 경유가 휘발유보다 저렴했지만, 실제 국제 시장에서 경유 가격이 휘발유보다 저렴한 것은 아니다. 국제 시장에서는 경유 가격이 휘발유보다 높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정부가 1·2차 에너지 세제 개편을 단행해 경유에 붙는 세금이 늘었고, 디젤차 판매가 증가하면서 경유 수요 역시 함께 뛰어 휘발유와의 가격 차이는 점점 줄어들게 됐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경유 수급난이 커지면서 휘발유 가격을 크게 앞지르게 됐다. 유럽은 경유를 연료로 쓰는 디첼 차량이 많은데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영향으로 이동량이 줄자 유럽 현지 정유업체들이 경유 생산량을 줄인 것도 영향을 끼쳤다.
경유를
골드만삭스가 제시한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평균 유가는 배럴당 135달러로, 종전 전망치보다 10달러 상향 조정됐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내년 세계 석유 수요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배윤경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