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올해 경제성장률 1.7%로 하향, 물가 5.2%로 상향"
물가 통제 조치가 경기침체·정리해고 불러올 수도
![]() |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 사진=연합뉴스 |
1981년 말 이후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기록 중인 미국이 치솟는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최대폭으로 인상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이달에 이어 7월에도 같은 폭의 금리 인상 가능성도 내비치며 반드시 물가를 잡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연준은 현지시간 15일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성명에서 기준금리를 0.75%p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종전 0.75∼1.00% 수준에서 1.50∼1.75% 수준으로 크게 올랐습니다.
연준이 0.75%p 금리를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는 것은 지난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처음 있는 일입니다.
파월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았다며 "계속되는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오늘 관점으로 볼 때 다음 회의에서 50bp(0.5%p, 1bp=0.01%포인트) 또는 75bp(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가장 높다"며 연준이 계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파월 의장은 지난달 빅스텝 직후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선 선을 그으면서 6∼7월에도 0.5%포인트씩의 금리 인상을 고려할 방침임을 밝힌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정점이 끝나지 않자 금리를 0.75%p 올리고 다음 달에도 비슷한 수준의 인상을 진행할 것임을 예고하며 연준의 단호한 '물가잡기' 의지를 보였습니다.
지난 10일 발표된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6% 오르며, 1981년 12월 이후 40년 5개월 만에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것도 이번 연준의 파격 금리 인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됩니다.
![]() |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 사진=연합뉴스 |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인 점도표(dot plot)를 보면 올해 말 금리 수준은 지난 3월보다 1.5%p 오른 3.4%로 전망했고, 내년 말 금리 전망치는 3.8%로 종전보다 1.0%p 상향됐습니다.
연준은 성명에서 "최근 몇 달간 일자리 증가는 견고했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며 "인플레이션은 (코로나19) 대 유행, 높은 에너지 가격, 광범위한 물가 압박과 관련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반영해 여전히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엄청난 인명과 경제적 어려움을 야기하며, 이는 인플레이션에 추가 상승 압박을 가하고 글로벌 경제 활동에 부담을 준다"며 "중국의 코로나 관련 봉쇄도 공급망 차질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연준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월에 내놓은 2.8%보다 1.1%포인트 낮은 1.7%로 하향 조정했고,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4.3%에서 5.2%로 올렸습니다.
또 공중 보건, 노동 시장 상황, 인플레이션 압력 및 기대치, 재정 및 국제 현황 등 광범위한 정보를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금리 인상을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려는 가장 공격적인 조치"라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하지만 투자자와 일부 기업은 인플레를 통제하려는 조치가 경제를 너무 냉각시켜 경기침체와 정리해고의 물결을 촉발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고도 덧붙였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