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8일 오전 경기도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에 화물차들이 멈춰 서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음.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4월 경상수지는 8000만달러(약 1005억원) 적자로 집계됐다. 2020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이어졌던 흑자 기조가 2년 만에 무너졌다.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 흑자가 1년 전보다 20억달러 적은 29억5000만달러에 그쳤다. 수출(589억3000만달러)이 반도체·석유제품 등의 호조로 11.2%(59억3000만달러) 늘었지만, 수입(559억8000만달러) 증가 폭(16.5%·79억3000만달러)이 더 컸기 때문이다.
특히 4월 통관 기준 원자재 수입액이 전년 같은 달보다 37.8% 급증했다. 원자재 중 석탄과 가스, 원유, 석유제품의 수입액 증가율은 각 148.2%, 107.3%, 78.4%, 36.0%로 집계됐다.
서비스수지는 5억7000만달러 흑자였다. 작년 4월과 비교하면 1억3000만달러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특히 운송수지 흑자 규모가 1년 사이 6억5000만달러에서 17억6000만달러로 11억1000만달러나 급증했다. 4월 선박 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1년 전보다 49.9%나 오르는 등 수출화물 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다.
여행수지 적자 규모(-5억9000만달러)는 지난해 4월과 같았다.
본원소득수지는 32억5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특히 배당소득수지 적자가 38억2000만달러에 이르렀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4월 중 17억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7억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8000만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72억달러 불었지만,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16억9000만달러 줄었다.
[김정은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