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A씨는 "탕이나 찜을 시키면 두 끼도 먹기 때문에 배달이 더 이득이라고 생각했는데 배달비만 따로 계산해보니 한 달에 수십만원이 나갔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배달료 부담은 커졌다"며 "재택근무도 끝나서 퇴근길에 저녁거리를 사서 들어오는 식으로 배달을 줄이고 있다. 알림이 계속 떠 배달 앱도 지웠다"고 말했다.
외식물가가 치솟는데다 최근 배달비까지 인상되면서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이용자가 줄고 있다.
9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국내 배달 앱 3사의 이용자 수가 최근 두 달동안 100만명 넘게 감소했다.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iOS 기준 지난달 배달 앱 이용자 수는 2336만명으로, 올해 3월과 비교하면 113만명이 줄었다.
배달 앱별로 살펴보면, 지난달 배달의민족 앱 월간이용자수(MAU)는 1994만명으로, 전월 대비 25만명 넘게 줄었다. 배달의민족 앱 MAU가 2000만명 아래로 감소한 것은 지난 2020년 5월 이후 처음이다. 올해 3월과 비교하면 배달의민족에서만 86만명의 이용자가 빠져 나갔다.
같은 기간, 요기요 MAU는 765만명으로 한 달 새 30만명이 줄었고 쿠팡이츠 MAU 역시 56만명 감소한 450만명을 기록했다. 올해 3월과 비교하면 요기요와 쿠팡이츠에서 각각 118만명이 빠졌다.
![]()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고물가 영향도 한몫한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지수는 일 년 전보다 7.4% 뛰어 지난 1998년 3월 이후 24년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전월보다 갈비탕(12.2%), 치킨(10.9%), 생선회(10.7%), 자장면(10.4%) 등이 10% 이상 올랐다.
또한, 전체 39개 품목 중 김밥(9.7%), 라면(9.3%), 쇠고기(9.1%), 피자(9.1%), 짬뽕(8.9%) 등 31개 품목 가격이 전체 소비자물가(5.4%)보다 많이 올라 물가지수를 끌어올렸다.
높은 배달비도 배달 주문을 꺼리게 만드는 요소다. 배달을 할 경우 메뉴 가격을 더 높게 책정하는 음식점이 종종 있는데 여기에 배달비까지 인상되면서 소비자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최근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올해 1분기(1~3월)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배달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올 1분기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서울시민의 약 52%는 배달 음식과 배달비 가격 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이유로 꼽았다. 10명 중 3명은 배달비가 인상되면서 배달 서비스 이용 빈도를 줄였다고 답했다.
![]()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소비자 체감은 2배 이상이다. 프랜차이즈 치킨 기준 배달비는 지난해 2000~3000원 수준에서 올해 최대 5000원까지 인상됐다.
배달업계는 날이 풀리는 봄과 초여름에 들어서면서 야외활동이 늘어 배달이 줄어든 영향이 크다고 보고 있다. 계절적 비수기에 들어섰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배달비 책정에
지난달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외식업 분야 실태조사에 따르면 음식 2만원어치를 배달했을 때 이용자가 적정하다고 생각한 배달비 수준은 평균 1618원이었다.
[배윤경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