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관 시술을 통해 임신한 경우, 임신 초기 태아의 크기로 출산시 예상 체중이나 임신 관련 합병증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산부인과 곽동욱 교수팀은 시험관 시술을 통해 임신한 960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11~14주 사이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머리엉덩길이를 측정해 분포표를 만든 뒤, 이를 임신 주수를 기준으로 태아 크기를 백분위로 △ 10퍼센타일 미만 △ 10~90퍼센타일 △ 90퍼센타일 이상 등 3개 그룹으로 나눠, 출생 체중 및 조산이나 임신성 당뇨와 같은 임신 관련 합병증을 비교 분석한 결과, 3개 그룹의 출생시 신생아 평균 체중이 각각 3,059gm, 3,198gm, 3,449gm으로, 실제로 각 그룹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고 2일 밝혔다.
또한 임신 초기 태아의 크기가 10퍼센타일 미만일 경우, 정상 크기 태아에 비해 부당경량아(제태기간에 비해 작게 태어난 신생아)일 가능성이 2.79배, 34주 미만의 조산 빈도가 6.48배 더 높았다. 반면 태아 크기가 90퍼센타일 이상으로 큰 경우, 4㎏ 이상 거대아일 가능성이 2.1배, 부당중량아(제태기간에 비해 크게 태어난 신생아)일 가능성이 3.67배 더 높았다. 이와 함께 임신 초기 태아의 크기가 큰 경우 산모가 임신성 당뇨에 덜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뇨 환자에서 임신 초기 태아의 크기가 작다는 이전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연구팀은 "태아 크기가 작은 원인은 다양하지만, 많은 경우 태반의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다. 이에 태반의 기능 저하가 임신 초기부터 태아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조산이나 부당경량아의 출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태아가 클 경우 분만시 손상이나 제왕절개술의 빈도가 증가하며, 소아 비만이나 당뇨 등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연구팀은 임신 초기 태아의 크기가 작다면 보다 면밀한 산전 진찰을 통해 태아 상태를 살펴야 하며, 반대로 클 경우 적절한 운동과 식이조절 등을 통해 정상 크기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곽동욱 교수는 "시험관 시술은 자연 임신과 달리 수정되는 시기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임신 초기 태아의 크기를 통해 태아 성장과 임신 관련 합병증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자연 임신의 경우 생리주기가 정확한 산모에서 일부 적용할 수 있다"라며 "물론 출생 체중에 미치는 요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임신 초기 태아의 크기가 작거나 크더라도 건강하게 출산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임신 초기 위험 요인을 사전에 인지해 적절한 산전 검사와 관리를 통해 건강한 출산을 돕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2022년 5월 SCI 국제 학술지 Journal of ultrasound in medicin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