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용산구 한남동 거리에서 대기중인 배달 오토바이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23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거리두기가 해제된 4월 18~24일 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 등 배달앱 3사의 총 이용자 수는 5047만5131명으로 전월 동기 대비 11% 감소했다. 같은 기간 배민 하루 평균이용자는 전월 대비 9%, 요기요는 16%, 쿠팡이츠는 18% 줄었다.
배달앱 이용자 감소는 장기간 이어져온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소비자가 오프라인 외식을 늘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최근 BC카드 신금융연구소가 식당과 주점 업종의 신용카드 결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영업시간 및 사적모임 인원 제한 조치가 모두 해제된 4월 18∼30일 오프라인 위주 식당이 거둔 매출은 거리두기 해제 전(3월 1∼20일)에 비해 27% 늘었다. 같은 기간 배달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는 식당 매출은 12% 줄었고 배달과 오프라인 영업을 병행한 식당 매출은 4% 감소했다.
이와 함께 지난 2년간 급격하게 오른 배달비 탓에 소비자 피로감이 짙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늘어나는 배달 수요에 따른 라이더 수급 경쟁, 이로 인한 배달료 및 수수료 증가가 계속되자 소비자 사이에서 '탈 배달앱' 움직임이 관측되는 것.
최근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올 1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배달서비스 이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배달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서울시민의 52.3%가 그 이유로 '배달음식·배달비 가격 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꼽았다. 10명 중 3명은 최근 배달비 인상으로 배달서비스 이용빈도가 줄었다고 답했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적정 배달비 수준은 1600원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외식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음식 2만원어치를 배달 주문한다고 했을 때 응답자들이 꼽은 적정 배달비 수준은 평균 1618원이다.
금액대별 응답 분포를 보면 1000~2000원 구간이 45.3%로 가장 많고 이어 2000~3000원이 41%다. 대다수 응답자가 1000~3000원의 배달비가 적정하다고 답한 셈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엔데믹 상황과 소비자 피로감이 맞물려 배
반면 배달앱 업계는 계절적 비수기를 원인으로 꼽는다. 날씨가 좋아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봄과 초여름엔 통상 배달 수요가 감소해왔다는 설명이다. 7~8월경 폭염과 장마 등 궂은 날씨가 이어지면 배달 수요가 다시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하린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