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청년세대 부의 양극화 일러스트 / 사진=연합뉴스 |
2030 세대의 자산 격차가 1년 전보다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작년 3월 말 기준 20~30대가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5천651만원으로 1년 전보다 3천802만원 증가했습니다. 자산 상위 20% 가구는 9억8천185만원을, 하위 20% 가구는 2천784만원을 보유해 자산 격차는 35.27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의 수치였던 35.20배보다 더욱 확대된 수치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위 20% 가구와 하위 20% 가구의 자산 증가율은 각각 12.8%, 12.6%로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으나, 실질적인 증가액을 살펴보면 각각 1억1천141만원, 311만원으로 확연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이는 기존에 보유 중이던 자산에 막대한 격차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30대의 자산 5분위 배율(35.27배)은 2019년(33.21배)보다도 더 확대된 수치를 보였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시중에 돈이 풀리면서 부동산과 주식을 비롯한 자산의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에 2019년보다 수치가 확대된 것이란 추측이 가능한니다. 실제로 2019년 당시 상위 20% 가구의 자산은 8억원, 하위 20% 가구의 자산은 2천409만원이었습니다.
20~30대 가구의 경상소득 5분위 배율은 2020년 기준 6.52배를 기록해 전년의 6.58배보다 다소 개선된 양상을 보였습니다. 경상소득이란 정기적인 소득을 지칭하는 말로 근로나 사업, 재산을 통해 얻는 소득이 이에 해당합니다. 경상소득의 경우 소득 상위 20%는 1년 전보다 742만원 늘어나 6.1%의 증가율을 기록했고, 하위 20%는 1년 전보다 131만원이 늘어나 7.2%의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작년 기준 20~30대 가구 자산 상위 20%는 하위 20%의 경상소득의 3.43배였습니다.
일각에서는 경상소득에서도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경상소득만으로는 청년 세대 내 자산 격차가 이처럼 크게 벌어지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즉 경상소득만이 청년 세대의 자산 격차 원인인 것이 아니라, 부모 등에게 받은 자산에서 차이가 나 자산 격차가 갈수록 심화되는 것일 수 있다는 겁니다.
데이터 분석을 담당한 김 의원 역시 "소득의 격차만으로는 청년 세대의 자산 격차 35배를 설명하기 힘들다"면서 "삶의 출발선부터 극복하기 어려운 격차를 안고 시작하는 것은 결코 공정하지 못하다"는 입장을 전했습니다. 또 그는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소위 말하는 '부모 찬스'가 없는 청년들도 격차 해소를 할 수 있는 공정의 사다리가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