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4일 유한킴벌리 본사에서 진행된 `멸종위기종 생태복원숲` 협약식에서 진재승 유한킴벌리 사장(왼쪽부터)과 김재현 평화의숲 대표, 최수천 북부지방산림청장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제공 = 유한킴벌리] |
생물다양성은 인류의 생존과 생태계의 균형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실제 올해 봄 우리나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멸종위기종인 꿀벌 수십억 마리가 실종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기후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그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다.
생태복원숲은 향후 5년간 DMZ(비무장지대)와 인접한 강원도 연천 국유림에 조성된다. 올해 착수되는 생물다양성 조사를 바탕으로 수종 선정 및 나무심기가 본격화될 예정이다. 멸종위기종인 꿀벌과 조류, 곤충류 등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와 먹이원을 확대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헛개나무, 쉬나무 등을 주요 수종으로 고려하고 있다. 국민적 공감대 확산을 위해 MZ세대를 중심으로 생태복원숲 조성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할 계획이다.
생태복원숲 예정지는 북한지역과 기후와 식생대가 비슷한 곳인 만큼 향후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연구에도 중요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동국대학교 바이오생명공학부와 산림기술사, 국립산림과학원, 서울대학교 산림학과, 북부지방산림청 서울국유림관리소 등 생태분야와 산림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유한킴벌리 관계자는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을 통해 국내외 산림 복원에 기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탄소중립의 숲,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생태복원숲 조성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며 "기후위기 시대에 주요 탄소 흡수원인 숲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는 만큼 숲과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진정성 있는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유한킴벌리는 1984년 시작된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을 통해 국·공유림에 5400만 그루
[양연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