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사업장에서 출하 중인 누리호 75t급 엔진. [사진 제공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일 경남 창원사업장에서 누리호 개발사업의 엔진 최종 납품을 기념하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협력업체 관계자들을 초청해 75t급 엔진 출하식을 열었다고 4일 밝혔다.
누리호 75t급 엔진은 한국이 독자 기술로 개발하고, 비행시험을 통해 성능 검증까지 마친 최초의 우주발사체 엔진이다. 영하 180도에 달하는 극저온 액체 산소에도 견딜 수 있고, 연소 시 발생하는 3300도의 초고온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됐다.
우주발사체 엔진 기술은 미국, 러시아 등 우주 선진국들이 극비 사항으로 여겨서 국가 간 기술이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관련된 모든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해야 하기 때문에 기술적 난도가 높다.
3단으로 구성된 누리호에는 총 6개의 엔진이 장착된다. 1단에 75t급 엔진 4기, 2단에 75t급 1기, 3단에 7t급 1기가 각각 사용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에 장착되는 엔진 전량을 생산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16년 3월 누리호 75t급 엔진 초도 납품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75t급 엔진 34기, 7t급 엔진 12기 등 총 46기의 엔진을 제작했다. 이번에 마지막으로 출하된 75t급 엔진은 내년 상반기 누리호 3차 발사에 사용될 예정이다.
한국형발사체 개발 사업은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km)에 투입할 수 있는 우주발사체를 독자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주도로 진행되는 사업은 2010년부터 올해까지 300여개 업체가 참여하고 총 1조9572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의 '심장'이라 불리는 75t급 액체로켓엔진을 제작할 뿐 아니라 터보펌프, 각종 밸브류 등의 제작과 시험설비 구축도 담당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향후 '한국형발사체 고도화 사업'에 따라 누리호 엔진을 추가 생산하는 한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우주발사체 체계종합기업 발굴·육성 계획에 동참해 역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신현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99년부터 23년간 발사체 사업에
누리호 2차 발사 예정일은 오는 6월 15일이다.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는 발사일을 한 달여 앞두고 최종 기능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문광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