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항 전경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해운업계에서는 근로자 측인 ILWU와 사용자 측인 PMA 양측 노사협상 결과 여부는 올해 하반기 해운 운임에 큰 영향을 미칠 변수임은 물론, 최근 개선세를 보이고 있는 항만 물류대란을 재점화 할 수 있는 사안으로 보고 있다.
가장 최근 타결됐던 2014년 계약 때는 협상에 차질이 생기면서 ILWU가 파업에 나섰고, 미 서안 항만이 마비돼 오바마 행정부가 직접 중재에 나서야 했다. 협상 마감시한인 7월 1일을 넘겨서도 타결이 되지 않을 경우 미국 항만에서 다시금 물류대란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28일 해양수산개발원(KMI)에 따르면 현재 일부 화주들은 잠재적인 물류대란 발생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북미 동부 지역에서 화물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화물은 항공화물로 처리할 계획도 세우는 중이다.
이에 해운사들도 지난해부터 항만 정체가 심한 북미 서부를 피하기 위해 동부 쪽으로 선대량을 늘리는 상황이다. 프랑스 해운분석기관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아시아-북미 동부 항로의 선대량은 지난 1년 동안 28.1% 증가해 서부항만(20.5%)의 증가율을 넘어섰다.
다만 물류업계에서는 이번 협상이 큰 난항을 겪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의 공급망 차질 문제가 더는 악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ILWU와 PMA 양측 지도자들은 만나 공급망 차질이 미국 내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항만에서의 그 어떤 노동 둔화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공화당에 비해 노동 협상에 개입하는 것을 불편해하는 민주당 행정부인데다가 친노조 성향으로 평가되는 바이든 대통령이 협상에 얼마나 직접적으로 개입할지 현재로서는 예측이 어렵다.
만약 협상이 결렬되고 1만5000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대규모 파업에 돌입해 작업이 둔화되거나 항만이 폐쇄될 경우 ▲선박 적체 ▲터미널 혼잡 ▲내륙 운송 차질 등으로 이미 총체적 난국 겪고 있는 미국 물류 시스템이 일시적으로 무력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곧 전세계 물류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해운업계에서는 협상이 7월 1일 이전에 타결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미국의 항만노조는 전통적으로
해상운송 경영학 전문가인 전준수 서강대 석좌교수는 "미국 정부야 급하겠지만 ILWU는 항만 노동력이 절실한 현재 상황을 나름대로 이용하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협상 타결이 원만치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동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