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50년 뒤에는 6대 과일(사과·배·복숭아·포도·단감·감귤)의 주재배 지역이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특히 온난화 등 기후변화 영향으로 사과·배·복숭아 등은 강원도에서만 재배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13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최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6대 과일의 재배 적지 및 가능지 변동을 예측했다. 그 결과, 사과는 재배 가능지가 급격히 줄어 2070년대부터는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배와 복숭아는 2030년까지 재배 가능지가 증가하지만 이후 감소해 2090년대부터는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됐다. 포도도 2050년대 이후 재배 가능지가 줄어 2070년대부터는 고품질 재배 가능 지역이 대폭 축소될 전망이다.
반면, 온난화로 겨울철 최저기온이 오르면서 내한성(추위를 견디는 성질)이 약한 단감과 감귤의 재배 가능지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단감은 2070년대까지 고품질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재배 가능지가 꾸준히 증가해 산간 지역을 제외한 중부 내력 전역으로 재배지가 확대될 것으로 점쳐졌다. 감귤도 재배 가능지가 계속 늘어 재배 한계선이 제주도에서 남해안과 강원도 해안 지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됐다.
농촌진흥청은 이 같은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후 적응형 품종을 육성하고 권역별로 알맞은 작목을 배치하고 있다. 또 고온 조건에 대응한 재배 기술을 개발하고 미래 생산성 변동 상황 예측과 기상재해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등
이지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은 "온난화로 고품질 과일을 생산할 수 있는 재배 적지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맞는 품종과 재배법을 보급하고 재배지 증가 작물의 경우 수출, 가공품 개발 등을 통해 소비 확대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송광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