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사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자료 사진.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7일 IT 및 게임업계에 따르면 NHN 클라우드는 최근 경력사원 공개 채용을 실시한다고 밝히면서 파격 조건을 내걸었다. 입사자 전원에 '웰컴 보너스' 200만원을 지급하는 것.
또 코로나 상황이 나아진 이후에도 주4일 재택근무를 기본 시행한다고 공언했다. 모집은 개발, 인프라, 사업·영업, 기술 지원, 인공지능(AI), 보안 등 6개 부문에 걸쳐 두 자릿수 규모로 진행된다.
스마일게이트도 게임 개발자 대규모 공개 채용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공채는 스마일게이트RPG, 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스마일게이트메가포트, 스마일게이트스토브 등 총 4개 법인이 참여한다.
지난해 '연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한 스마일게이트는 회사의 비전과 연 평균 2000억원 안팎의 가파른 성장세를 강조하며 개발자 모시기에 나섰다. 지난해에는 800만원 이상의 연봉 인상을 단행하며 처우를 개선한 바 있다.
이 밖에 무신사, KT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등 IT·게임업계 포함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개발자 채용에 적극 나서고 있다. 단순 연봉 인상뿐만 아니라 인센티브, 원격근무, 사내어린이집, 복지포인트 지급 등 보상책을 쏟아내는 추세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처럼 천정부지로 치솟는 개발자 몸값이 일부 주요 기업만의 이야기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른바 '쏠림 현상'에 대한 우려다.
실제로 지난 5일 개발자 채용 플랫폼 프로그래머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그렙은 "정작 개발자 절반 이상이 4000만원 이하의 연봉을 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밝혔다.
그렙에 따르면 전국 개발자 5362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연봉 4000만원
그렙 관계자는 "개발자 영입 전쟁이 치열해지면서 사이닝 보너스, 스톡 옵션 제공이 연일 화제가 되고 있지만 고액 연봉을 받는 개발자는 극히 소수"라고 설명했다.
[이하린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