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날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의 출발 항공편 안내 모니터.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31일 열린 '코로나19 해외 유입 상황평가회의'에서 연말까지 국제선 운항 규모를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9년의 절반 수준까지 회복하는 '국제선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을 추진하기로 방역 당국과 합의했다고 6일 밝혔다.
국토부는 방역 정책으로 쪼그라들었던 국제항공 네트워크를 총 3단계에 걸쳐 정상화하기로 했다. 정상화는 국내외 방역 상황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진행할 계획이다. 현지 방역 상황과 입국 시 격리면제 여부, 상대국 항공 정책의 개방성 등을 고려해 빠른 여객 수요 회복이 예상되는 노선을 중심으로 항공 네트워크를 복원할 예정이다.
올 연말까지 코로나19 이전의 50% 수준으로 국제선 운항을 회복하는 게 국토부의 목표다. 국토부는 여객 수요가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올해 전 세계 항공 시장에서 83%, 아시아 시장에선 40% 수준을 각각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선 국토부는 오는 5~6월 1단계 계획을 시행한다. 코로나19 이전 대비 운항 규모가 8.9%로 축소된 국제선 정기편을 5월부터 매월 주 100회씩 증편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국제선 운항편은 이달 주 420회 운항에서 5월 주 520회, 6월 주 620회로 늘어난다.
한국의 국제선 단일 창구인 인천국제공항의 시간당 도착 항공편 수 제한도 2년 만에 10대에서 20대로 완화한다. 부정기편 운항 허가 기간 또한 당초 1주일 단위에서 2주일 단위로 개선한다.
2020년 4월부터 국제선 운항이 중단된 지방 공항의 경우도 준비 기간을 거쳐 국내 예방접종 완료자를 대상으로 국제선 운항을 재개한다. 5월에는 무안·청주·제주공항, 6월에는 김포·양양공항에서 국제선 운항이 재개된다. 김해공항은 지난해 11월 국제선 운항을 다시 시작했다.
2단계는 7월부터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지는 감염병) 때까지 시행된다. 2단계에서는 국제선 정기편을 매월 주 300회씩 증편할 방침이다. 인천공항의 시간당 도착 항공편 수도 30대로 늘릴 계획이다. 지방 공항 운영시간도 정상화하고, 방역 위험도가 높은 국가의 항공편 탑승률 제한도 폐지할 계획이다. 부정기편 허가 기간도 2주에서 4주로 늘어난다.
엔데믹 시기가 되면 국토부는 3단계를 시행하고, 모든 항공 정책을 코로나19 이전으로 정상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10월이면 코로나19가 엔데믹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제선 증편이 계획대로 시행되면 10월에는 2019년의 40% 수준(주 1820회), 11월에는 51% 수준(주 2420회)까지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매월 국토부가 방역 당국과 협의해 인가하는 국제선 정기편 일정도 엔데믹 이후에는 하계·동계 매년 2차례 인가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인천공항 시간당 도착 편수 제한도 코로나19 이전과 같은 40대로 정상화된다.
이 같은 계획을 시행하기 위해 국토부는 5월부터는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마찬가지로 정책 방향에 맞춰 항공사의 정기편 증편을 결정한다. 정부는 현재 항공업
김용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방역 정책을 포함한 모든 코로나19 관련 정책의 최종 목표는 우리 국민들이 일상을 온전히 회복하는 것"이라며 "항공 분야도 조속히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희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