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 영향 크다
![]() |
↑ 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모습. / 사진 = 연합뉴스 |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약 10년 만에 4%대로 폭등했습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물가 오름세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한층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06(2020=100)으로 작년 같은 달에 비해 4.1% 상승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2%를 기록하며 9년 8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선 뒤 11월 3.8%, 12월 3.7%, 올해 1월 3.6%, 2월 3.7%로 5개월 동안 3%대를 유지했습니다.
지속적인 오름세를 보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4%대를 깼습니다. 물가가 4%대 상승률을 보인 것은 2011년 12월 4.2% 이후 10년 3개월 만입니다.
지난달 물가 상승은 석유류 등 공업제품의 영향이 큽니다.
석유류는 31.2% 올라 작년 11월 35.5% 이후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가공식품은 6.4% 올랐습니다.
서비스 물가는 개인 서비스가 4.4%, 공공 서비스가 0.6%, 집세가 2.0% 오르며 3.1% 상승했습니다. 개인 서비스 중 외식은 6.6% 오르며 1998년 4월 7.0%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농축수산물은 0.4% 올랐습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5.0% 올랐습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와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과 외식 등 개인 서비스 가격이 오름세를 지속했다"며 "이번 달 상승 폭 확대는 대부분 석유류 가격 오름세 확대에 기인한다"고 밝혔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