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카오모빌리티가 가맹택시 업계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카카오 T 블루 가맹점협의회와의 협의 사항인 카카오 T 블루 취소수수료 배분 정책 적용을 완료하고, 가맹점사업자들의 추가 수익 모델로 RSE(차량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21일 발표했다.
지난 상생간담회 당시 최우선 과제로 꼽았던 '카카오 T 블루 취소수수료 배분 정책 개편'을 이달 15일부터 적용했다. 취소수수료는 가맹 계약의 주체인 가맹회원사에게만 배분되던 방식에서 기사(크루)들에게도 배분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이에 따라 차량 배차 1분 이후 호출을 취소한 경우에 한해 발생하는 카카오 T 블루 취소수수료의 배분율을 ▲기존 가맹사업본부(5)대 가맹점사업자(5)에서 ▲가맹사업본부(2):크루(3):가맹점사업자(5)로 변경 적용되어 기사들도 15일부터 취소수수료를 배분받게 된다.
가맹 기사에게 지급되는 취소수수료의 30%는 매월 합산을 통해 익월 15일에 카카오 T 택시 기사앱 내 포인트로 자동 적립되며, 실시간 적립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장기적 동반성장을 위한 가맹택시 추가 수익화 모델 개발'에 대한 계획안을 마련했다.
현재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 서비스 경험을 개선하고자 택시 이용자들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테스트 중인 RSE 시스템을 광고 영역으로 확대, 가맹택시 수익화 모델로 운영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RSE 시스템은 이미 일본 등 해외 모빌리티 시장에서 광고 및 탑승객의 이용 편의성 증대 효과가 입증된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채널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현재 택시 이용자들에게 RSE를 연계한 인포테인먼트를 확대해 보고자 직영 운수사에 한정해 제한적으로 승객에게 목적지까지 실시간 운행경로를 비롯 웹드라마·애니메이션·뉴스·과학·시사교양 등의 제휴 콘텐츠를 제공하며 테스트 중에 있다. 올해 상반기 내 RSE 시스템을 카카오 T 블루 1만 대에 확대 설치하고, 광고 콘텐츠를 적용하기 위한 심의, 광고주 섭외 등의 제반 사항을 마무리해 연내에는 가맹회원사와 광고 수익을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모빌리티 MaaS 사업실 신동훈 상무는 "가맹택시 산업과의 상생 생태
[진영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