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복 한우 차돌박이 짬뽕. [사진 출처 = 신라호텔] |
20일 호텔업계에 따르면 최근 어번 아일랜드를 오픈한 서울신라호텔이 이곳에서 판매하는 음식 가격을 대폭 인상했다. 어번 아일랜드는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운영하는 서울신라호텔의 랜드마크 수영장이다.
어번 아일랜드에서는 수영뿐 아니라 식음료를 함께 즐길 수 있다. 클럽 샌드위치, 새우 게살 볶음밥, 새우버거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돼 있다.
이 가운데 시그니처 메뉴인 '전복 한우 차돌박이 짬뽕'은 돌문어, 전복, 대게 등 신선한 해산물과 한우 차돌박이가 들어가 비주얼과 양, 맛을 모두 잡은 인기 메뉴다. 제주신라호텔에서도 판매 중이다. 신라호텔은 올해 이 짬뽕을 지난해 5만8000원에서 올해 6만8000원으로 17.2% 인상했다.
또 다른 인기 메뉴인 '어번 순살 프라이드 치킨'은 지난해 5만8000원에서 올해 6만3000원으로 8.6% 올랐다. 맥주와 세트로 주문해 치맥(치킨+맥주)을 즐기려면 8만1000원을 내야 한다.
신라호텔 관계자는 "식자재 가격이 치솟는 등 물가 인상이 계속돼 불가피하게 인상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신라호텔은 지난해에도 짬뽕과 치킨 메뉴를 각각 18%, 20% 올렸다.
![]() |
↑ 조선 팰리스 강남 '샤인머스캣 빙수'. [사진 출처 = 조선호텔앤리조트] |
호텔업계는 각종 원재료비와 인건비가 상승한 영향이라고 입을 모으지만, 일각에서는 고급화 이미지를 위한 '최고가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코로나19 이후 보복소비와 작은사치(스몰럭셔리)가 트렌드로 자리함에 따라 비교적 높은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최상의 맛과 서비스를 경험하려는 젊은 층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5월 오픈한 조선팰리스 강남 역시 중식당 '더 그레이트 홍연'에서 5만7000원짜리 '트러플 소고기 볶음 짜장면'을 판매하고 있으며, 지난 여름엔 9만8000원짜리 '샤인머스캣 빙수'를 매일 20개씩 한정 판매했다. 당시 SNS를 중심으로 빙수 인증샷이 쏟아져 최고가 마케팅에 성공했다는 평을 받았다.
호텔업계 관계자는 "해외여행을 가지 못하는 대신 국내 특급호텔에서 과감히 지갑을 여는 고객이 늘어나는 추세"며 "최고급 서비스를 즐긴 뒤 SNS에 자랑하려는 심리도 한몫을 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최근의 젊은 고객은 다양한 호텔 식음업장을 이용하면서 경험을 채우고 인증까지 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면서 "얼마 전 화이트데이에도 2030세대의 방문이 줄을 이었다"고 말했다.
다만 이러한 트렌드를 감안하더라도 호텔업계의 식
20대 직장인 B씨는 "어느 정도의 작은사치는 이해할 수 있으나 요즘엔 너도 나도 돈 쓰고 인증하는 데에만 혈안이 된 것 같다"며 "과시용 소비에 치중하기 보다는 진정 자신에게 맞는 경험을 채우는 게 중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하린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