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년간 해양 산업에 종사했던 전문가들은 해운·항만·수산 등 각 분야별로 챙겨야할 현안이 상이한 해수부 부처 특성상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있고 아울러야 하는 업계도 많기 때문에 특정 분야에만 치중한 전문가가 오면 안 된다는 논리다.
16일 임현철 한국항만물류협회 상근부회장은 매일경제와 통화에서 "신임 해수부 장관으로는 힘있는 정치인이 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해수부에서 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과 항만국장을 지냈던 임 부회장은 "과거 한진해운 사태 때에도 정치인 출신 장관이 해운 산업을 살려야 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청와대나 산업은행에 강단있게 보냈다면 상황이 달라졌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무 한국해운협회 상근부회장도 "정권 초기에는 정치적으로 힘 있는 사람이 장관으로 왔으면 좋겠다"며 "해수부가 더 이상 홀대받아서는 안 되며, 대통령 산하에 해양·수산을 전담하는 위원회와 해양수산을 전담하는 수석·비서라인도 설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대통령 비서실 경제수석 관할에는 농어업비서관만 있지만 아예 해양산업을 전담하는 비서관을 둬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인수위 인선에 관해서도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을 연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해운 물류 분야 실무를 지속적으로 담당해온 인물이 전문위원으로 참여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항간에 이야기가 도는 정치인 출신 해수부 장관 후보군에는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강원 속초·인제·고성·양양)과 정점식 국민의힘 의원(경남 통영·고성)이 있다. 두 의원 모두 바다가 인접한 지역구에서 탄탄한 기반을 다지고 있기 때문에 해수부 현안을 돌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는 중이다.
해수부 산하 기관의 한 고위급 간부도 "교수 출신 장관들은 오랜 시간 자리잡아온 정형화된 논리를 기반으로 정책을 만들지만 다소 현장 감각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며 "또 조직을 끌고 나가면서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혀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에는 리더십 측면에서도 명확한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30대의 젊은 장관 탄생을 예고한 윤 당선인의 공약에 대해서는 적어도 해수부는 그럴 만한 인물이 없다는 시각이 존재한다. 한 해수부 공무원은 "윗선 간부들이 특히 부담스러워할 것"이라며 "정무적인 감각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젊은 인물보다는 관록을 바탕으로 대외적으로 정책을 힘 있게 추진할 수 있는 인물을 모두가 원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원희 목포해양대 총장은 장관 인선에 대한 의견은 밝히지 않은 대신 차기 정부에 해운 인력 양성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기관사 출신인 한 총장은 "윤 당선인의 공약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해양산업 기반에 대한 내용은 꽤 있지만 산업을 떠받쳐야하는 인력에 관한 이야기는 찾아볼 수 없다"며 "전통적 해양 강국인 일본과 영국이 외국 저임금 선원을 쓰다가 고급 인력 씨가 말랐고 이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19년 문성
[박동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