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2021년 세계 주요 자동차 생산국 현황'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대비 1.3% 소폭 감소한 346만대 생산에 그쳤다. 하지만 글로벌 반도체 대란 등 악재 속에서도 재고관리와 반도체 확보노력 전개 등으로 감소폭을 최소화하면서 전년도에 이어 5위를 유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세계 자동차 생산은 잦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차질 발생과 코로나19 변이에 따른 재유행 등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전년대비 2.0% 증가에 그친 7978만대를 기록했다. 글로벌 10대 자동차 생산국 순위는 중국, 미국, 일본, 인도, 한국, 독일, 멕시코, 브라질, 스페인, 태국 순이었다.
1위 중국은 3년 연속 역성장을 마치고 내수증대와 수출 급성장에 힘입어 3.4% 증가한 2608만대를 생산, 13년 연속 1위를 유지했다. 2위 미국은 3.8% 증가한 915만대, 3위 일본은 르네사스 공장 화재, 델타변이 확산 등으로 2.7% 감소한 785만대 생산에 그쳤다.
생산능력이 400~500만대인 4~7위는 코로나19 이후 순위 변동이 많았다. 4위 인도는 2020년 락다운으로 6위로 하락으나 2021년 내수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가깝게 회복하면서 29.6% 증가한 440만대를 생산, 한국과 독일을 제치고 순위가 두단계나 상승했다.
한국은 전년도 내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데에 기인한 역기저 효과와 반도체 수급 부족으로 1.3% 감소한 346만대를 기록했다. 6년 연속 감소세를 면치 못했으나 전년에 이어 5위를 유지했다.
6위 독일은 하반기 이후 반도체 위기 심화로 7개월 생산량이 하락했다. 2020년 25.2% 급락에 이어 8.8% 추가 하락하며 343만대로 197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15년간 이어오던 4위에서 2단계 내려갔다. 7위 멕시코는 반도체 부족과 변이 바이러스 영향으로 1.0% 감소한 313만대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 태국은 2014년 이후 8년만에 10위권 내에 재진입했다.
KAMA는 "일본, 한국, 독일, 멕시코, 스페인 등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들은 반도체 부족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침체 반복과 해운·항만 병목현상 등으로 수출 회복이 제한되며 생산 감소가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며 "내수(약 2800만대 규모)대비 생산역량(약 5000만대)이 큰 중국은 과잉공급 해소를 위해 수출에 노력하면서 2021년도 수출이 전년대비 100% 이상 급성장해 수출시장에서 우리와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광활한 내수시장을 가진 미국, 중국 등은 규제와 보조금만으로도 전기동력차 생산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나 내수가 취약한 우리로서는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