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한항공은 지난 9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수소 공급·인프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사진 왼쪽부터 기욤 코테 에어리퀴드코리아 대표, 파브리스 에스피노자 에어버스코리아 대표, 전형욱 인천공항공사 인프라본부장, 이수근 대한항공 부사장. [사진 제공 = 대한항공] |
대한항공은 "이번 협약은 에어버스가 2035년까지 수소 연료로 비행하는 항공기를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에 발맞춘 것"이라며 "수소 항공기가 가져올 항공업계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각사는 △공항 수소 인프라 개발 △공항 수소 로드맵 구축 △수소 지상조업 체계 등 부문에서 협력한다. 대한항공은 지상조업·정비·운항 등 항공기 운항과 관련한 부문에 집중한다. 인천국제공항은 공항시설 부문 연구·개발을, 에어버스는 한국 지역 수소 항공기 수요 분석을, 에어리퀴드는 항공업계 수소연료 도
이수근 대한항공 부사장은 "다른 산업군 대비 수소 도입이 늦은 항공업계와 공항 시설의 수소 공급과 인프라 구축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상징적인 출발점"이라며 "대한항공은 앞으로도 탄소중립과 한국 수소경제 활성화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광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