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제공 = 연합뉴스] |
가지고 있는 주택의 가치가 일정 수준 이상 상승하면 은퇴시기가 빨라진다는 의미다.
이런 경향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보였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정종우 부연구위원은 9일 '주택의 자산가치 변화가 고령자의 노동공급과 은퇴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한 'BOK경제연구'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 부연구위원이 2006년 기준 55~70세 고령자 3664명을 대상으로 12년(2006~18년)간 주택가격과 노동공급 상황을 추적 조사한 결과, 보유한 주택의 자산가치가 연 평균 10%씩 상승할 경우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은 평균 34.1%에서 35.9%로 1.8%포인트 하락하고 근로시간도 주당 평균 18.4시간에서 6.1%(약 1시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은퇴확률은 평균 65.7%에서 67%로 1.3%포인트 상승하는 등 보유한 주택의 가치가 상승하면 전반적으로 노동공급이 축소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주택의 자산가치 변화에 따른 영향은 성별과 연령대, 근로형태에 따라 차이가 났다.
남성 근로자는 여성 근로자보다 주택자산 증가에 따른 노동공급 감소의 폭이 컸다. 실질은퇴연령인 72세(2017년 OECD 발표 기준)에 가까워질수록 주택의 자산가치 변화가 노동공급과 은퇴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는 모습도 보였다.
주택의 자산가치 변화에 따른 부의 효과는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 모두에게서 발견됐으며, 상대적으로 임금근로자의 노동감소 효과가 높았다.
추가적인 분석에서는 주택가격의 상승세가 과거에 예상한 수준을 웃돌 경우 주택 보유자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보다 더 크게 하락하고 은퇴확률 역시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주택 가격이 과거 3년간 가격 추이를 바탕으로 계산한 예상 수준보다 10%포인트 더 상승할 경우 즉, 연 평균 주택가격이 20%씩 오르면,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5%포인트 하락했고, 근로시간은 6.4% 감소했다. 은퇴확률은 4.8%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주택가격이 예상한 수준만큼 상승한 경우라면 생애주기 이론이 시사하는 대로 노동공급과 은퇴 결정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고 정 부연구위원은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는 2006~18년 중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과 한국부동산원
[전종헌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