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11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하이네켄, 에델바이스 등을 취급하는 수입맥주 1위 업체 하이네켄코리아는 지난달 초 편의점 교차구매 프로모션 가격을 4캔 1만원에서 1만1000원으로 올렸다.
이어 지난달 말에는 오비맥주가 수입·판매하는 버드와이저, 스텔라 아르투아, 호가든 등과 하이트진로의 블랑1664 등이 4캔에 1만1000원으로 인상됐다.
수제맥주 중에서는 업계 1위 제주맥주가 우선 총대를 멨다. 제주맥주는 내달 1일부터 제주위트에일, 제주펠롱에일 등 자사 대표 제품 6종의 공급가를 10% 인상키로 했다. 원재료인 맥아, 홉 가격과 더불어 캔 가격까지 올라 부담이 가중됐단 설명이다.
업계는 제주맥주에 이어 국내 경쟁업체들도 잇따라 제품 가격을 올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처럼 수입맥주에 국내 수제맥주 가격까지 줄인상되는 만큼 조만간 4캔 1만원 맥주가 아예 사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편 주류업계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원자재 가격 급등과 더불어 주류세까지 인상을 앞두고 있어서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6일 맥주와 막걸리(탁주)에 붙는 세금 인상 내용이 담긴 '2021 세법 개정 후속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 개정안은 오는 4월부터 1년간 맥주에 붙는 세금을 리터당 20.8원, 탁주는 1.0원 인상하는 것이 골자다. 맥주 주세는 ℓ당 855.2원, 막걸리 주세는 1ℓ당 42.9원이 된다. 지난해보다 각각 2.49%, 2.38% 오른 수치다.
맥주와 탁주는 현재 물가 연동형 종량세를 따르고 있는데,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5%에 달하면서 물가 상승 폭
이 같은 주세 인상은 원자재 가격 상승과 함께 주류업계의 가격 인상 주요인으로 작용, 결국 그 부담이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 지난해 4월에도 주세법 등 관련 법령이 개정되면서 세금이 오르자 맥주 가격이 오른 바 있다.
[이하린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