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커지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최근 차값이 오르고 혜택은 줄어 '전기차 대중화'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세계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최근 전기차 값이 오르고 혜택은 줄어 '전기차 대중화'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리튬, 니켈 등 최근 원자잿값이 상승하면서 배터리 가격과 전기차 가격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전기차 원가에서 배터리 값이 차지하는 비율은 20~40%다. 배터리만 놓고 보면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 핵심 원료의 비중이 절반을 차지한다. 최근 이들 대부분의 가격이 올랐지만, 그중에서도 리튬과 니켈의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리튬이온전지의 필수 원료인 리튬의 가격은 연이어 최고가를 경신 중이다. 리튬을 유통하기 쉽게 가공한 탄산리튬 가격은 올해 들어 kg당 40달러(약 4만8000원)를 돌파했다. 시장조사업체 벤치마크미네랄인텔리전스에 따르면 1일 기준 탄산리튬 가격은 톤(t)당 4만1925달러(약 5000만 원)로 전년 동기 대비 485.8% 증가했다.
업계에 따르면 니켈 가격도 최고가를 기록했다. 니켈은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가 생산하는 삼원계배터리의 핵심 원료다. 배터리 양극재에 니켈 함량을 높이면 에너지 밀도가 높아져 주행 거리가 늘기 때문이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따르면 니켈은 지난달 31일(현지 시각) 기준 톤당 2만757달러(약 2488만 원)에 거래됐다. 지난 2020년 말 가격은 1만6000달러(약 1900만 원)로 1년 사이 1.3배가 됐고, 이는 최근 10년 중 가장 높은 가격이다.
미국 금융서비스기업인 S&P글로벌은 "리튬, 코발트와 달리 전 세계 니켈 생산량의 약 70%는 스테인리스스틸 부문에서 소비되는 반면 배터리 부문은 5% 정도를 차지한다"면서 "배터리 부문에서 니켈 수요는 10년 후 전체 수요의 35%에 육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S&P글로벌은 니켈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중국과 인도네시아의 스테인리스스틸 생산 설비 확장을 꼽았다. 이로 인해 니켈 소비가 2020년에서 2025년 사이 7% 성장할 것이라는 예상도 덧붙였다.
로이터 역시 지난달 런던금속거래소의 니켈 재고량이 작년 후반기 동안 26만4606톤에서 11만688톤으로 감소했다며 중국의 니켈 수입량 증가를 원인으로 들었다.
로이터에 따르면 작년 9월, 10월 중국의 정제 니켈 수입량은 각각 3만5500톤, 3만4500톤으로 2017년 12월 이후 월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작년 첫 10개월 동안의 누적 수입량은 20만8000톤으로 이는 작년 동기의 거의 2배 수준이며 2016년 이후 가장 많다.
![]() |
↑ 최근 1년간 니켈 가격 추이. [사진 출처 = 런던금속거래소] |
지난달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원통형배터리의 가격을 7~8% 인상했고, LG에너지솔루션은 LG에너지솔루션은 이달부터 원통형배터리 가격을 10% 올린다고 예고했다.
해외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테슬라, 포드에 배터리를 납품하는 중국 BYD는 작년 10월 배터리 단가를 20% 올린다고 통보하고 11월부터 상승분을 적용했다. 궈쉬안, 에스볼트 등 다른 중국 기업들도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배터리 가격이 오르면서 전기차 업체는 출고가를 올리고 나섰다. 테슬라는 작년 12월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 제작하는 모델3의 가격을 기존가보다 3.9% 올려 26만5652위안(약 4995만 원)에 팔았고, SUV인 모델Y 기본 모델은 7.5% 인상된 30만1840위안(약 5675만 원)에 판매했다.
국내에서는 지난달 모델 S와 X의 국내 신규 주문 접수를 멈추고, 차량 가격을 '미정'으로 바꿔 예약만 받기도 했다. 당시 업계는 반도체 수급난과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주문 시점의 가격과 차량 출고 때 가격 차이가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한국에서는 올해부터 전기차 보조금이 축소되고 충전 요금도 비싸진다.
국고보조금, 지방보조금으로 나뉘는 전기차 보조금 중 차종별로 달리 산정하는 국고보조금 최대액이 올해부터 800만 원에서 700만 원으로 준다.
국고보조금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는 차량 가격 범위도 줄어 작년 5500만~6000만 원 상당의 전기차를 사면 보조금을 100% 받았지만, 내년부터는 50%만 받을 수 있다.
한전이 2017년부터 시행한 '전기차 충전요금 할인 특례 제도'는 올해 6월까지만 시행할 예정이다. 전기차 충전요금 할인 특례 제도는 충전 시 기본요금과 전력량 요금을 할인해 주는 제도다. 작년 기준 6월까지는 기본요금 할인율이 50%, 전력량 요금이 30%였지만, 7월부터 각각 25%와 10%로 줄었다. 올해 7월부터는 할인 혜택이 사라진다.
다만 탄소 중립을 위해 전기차 사용을 독려하면서 요금 할인을 중단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라 할인 기간이 연장될 여지는 있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지난해 9월 "탄소 중립 선언의 본격 이행 등 정부 정책 방향에 큰 변화가 있었던 만큼 충전요금 특례할인 종료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연장 의사를 밝혔다.
단, 개별소비세를 30% 감면해주는 혜택은 올해 6월까지, 취득세를 최대 140만 원까지 감면해주는 혜택은 2024년까지 유지된다.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는 반면 고객을 견인할 수 있는 제도는 역행하고 있다. 전기차 비중이 높은 해외 국가를 보면 보다 확실한 유인책이 필요하다.
예컨대 전체 승용차 중 전기차 비중이 20
이 밖에도 전기차는 오전, 오후에 버스전용차선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주차비, 교통비의 할인 폭도 크다.
[김우현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