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은 전국 5인 이상 기업 1021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고령자 고용정책에 대한 기업 인식 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경총에 따르면 응답기업 58.2%는 60세를 초과한 정년 연장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특히 1000인 이상 규모 기업은 71.2%가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정년 연장에 대한 부담감은 노조 유무에 따라 온도차가 있었다. 1000인 이상 기업들 중 노조가 있는 곳은 80.2%가, 노조가 없는 곳은 60.7%가 정년 연장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했다.
60세를 초과한 정년 연장이 부담된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최대 부담 요소로 '연공급제로 인한 인건비 부담'(50.3%)을 지목했다. 이어 △생산성 저하(21.2%) △조직 내 인사 적체(14.6%) △적합한 일·직무 부족(9.3%) △고령 인력에게는 맞지 않는 업무환경(3.9%)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정년 연장에 따른 부담을 줄이는 방안으로 '임금피크제 도입·확대'(34.5%)를 가장 많이 언급했다. 이어 △임금체계 개편(20.8%) △고령 인력 배치전환(14.3%) △고령자 직무능력 향상 교육 실시(14.2%) △인력감축 시행(8.5%) △비중점 업무 인력 외주화(5.8%) 등으로 나타났다.
정년 연장이 신규 채용에도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53.1%로 나타났다. 이 같은 비율은 노조가 있을수록, 기업 규모가 클수록 높게 조사됐다. 노조가 있는 기업에선 64.2%, 노조가 없는 기업에선 46.6%가 정년 연장에 따라 신규 채용에 부정적 영향이 나타난다고 응답했다. 300인 이상 기업에선 62%, 300인 미만 기업에선 46%로 집계됐다.
고령 인력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인건비 지원'(28.1%)이 꼽혔다. 이어 △고령 인력 채용 증가 시 세제 혜택(16.5%) △인력조정이 용이하도록 법·제도 개선(11.3%) △고령 인력 사회보험 부담 완화(8.2%) 등으로 나타났다.
이형준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정년연장이 부담된다고 응답한 기업 중 50.3%가 연공급형 임금체계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가장 큰 부담이라고 답했다"며 "연공급형 임금체계를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로 개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임금·고용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노동법 전반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또 "고령 인력에게 부족한 디지털 적응
이번 조사는 경총이 마케팅비전컨설팅에 의뢰해 온라인 조사와 유전 조사를 병행한 방식으로 지난 9~11월 진행됐다. 응답이 회수된 기업은 규모별로 △5~99인 403개사 △100~299인 203개사 △300~999인 244개사 △1000인 이상 171개사 등이다.
[문광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