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제공 = 연합뉴스] |
한국은행 산하 경제연구원은 15일 BOK경제연구 '로봇이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 구인정보 자료 인용' 보고서를 통해 로봇과 노동 간 대체성은 앞으로 로봇 기술이 발전할수록 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 근로자 1만명당 산업용 로봇 대수를 나타내는 로봇 밀집도는 774대로 싱가포르(831대)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김혜진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부연구위원은 2010~19년 중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구인정보 자료와 국제로봇협회 산업용 로봇 도입 자료를 결합해 전국 229개 시군구에서 발생한 기업의 구인 인원 증가분을 합산, 도봇 도입에 따른 노동수요를 측정했다.
↑ [자료 제공 = 한국은행] |
이와 관련, 김 부연구위원은 이날 유튜브 설명회를 통해 "로봇 도입이 많이 늘어난 지역에서 대체효과와 생산성 효과가 서로 상쇄되면서 노동수요 감소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산업용 로봇 도입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면 다른 영역에서 노동수요가 증가해 노동수요 감소를 상쇄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노동수요를 세분해 보면 산업별로는 제조업 부문에서, 직종별로는 단순 반복적 직종에서 로봇 도입 증가 시 노동수요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2010~19년 중 로봇 노출도(근로자 1000명당 로봇 대수) 변화가 중간값(2.318)인 지역과 변화가 없었던 지역과 비교했을 때, 제조업 구인 인원 증가율은 -6.7%포인트(2.318×0.029), 단순 반복적 직종 구인 인원 증가율은 -6.5%포인트(2.318×0.028) 낮았다.
김 부연구위원은 "9년간 근로자 1000명당 로봇이 1개 늘어날 때 제조업은 2.9%포인트, 단순 반복 직종은 2.8%포인트 노동수요가 각각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라며 "이런 결과는 산업별로는 제조업, 특히 자동차 및 전기·전자 업종에, 직종별로는 단순 반복적 직종에 로봇이 대체하기 쉬운 업무 프로세스가 많은 데 기인한다"고 말했다.
실제 분석 결과, 2010~19년 중 로봇 노출도 변화의 산업별 평균은 23대지만 제조업은 34대(자동차업종은 190대, 전기·전자 업종은 179대)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김 부연구위원은 "로봇과 노동 간 대체성이 강화되는
[전종헌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