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가 늘어나면 기업이 세금 부담을 근로자들에게 일부 전가해 임금 감소를 초래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시간제 근로자 등 취약계층 근로자들의 임금에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주기 때문에 법인세 인상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3일 조세재정연구원이 발표한 '산업별 변이를 활용한 법인세 부담의 귀착효과 분석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산업별 법인세 부담이 개인별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법인세 부담이 증가할 경우 기업이 그 일부를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 = 연합뉴스] |
이는 기업이 속한 산업의 시장 집중도가 높을 때 노동자에게 법인세 부담 일부를 전가하는 정도가 더 큰 것으로 추정됐다. 시장구조가 독점적 시장에 가까울 경우 법인세 한계세율이 10% 증가할 때 개인의 임금 수준은 0.54% 감소했다. 특히 노동집약적 산업과 시간제 노동자들에게 이 같은 현상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빛마로 조세연 부연구위원은 "시간제 근로자의 임금 감소 정도가 더 큰 것은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낮고 임금 조정 여지가 높은 노동자 위주로 법인세 부담이 귀착된다는 선행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최근 법인세 명목세율 인상 등 법인세의 실질적 부담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제도적 변화가 이뤄져 왔다. 문재인정부는 임기 첫 해인 2017년 법인세 최고세율을 22%에서 25%로 인상한 바 있다.
김 부연구위원은 "대기업이 직면하는 법인세 부담의 일부가 상대적 취약계층에
[전경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