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시장에서 올해 5월부터 공매도가 부분적으로 재개되면서, 개인 투자자가 빌릴 수 있는 주식 물량(대주물량)이 기관에 비해 극히 적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 대주물량은 1천817주로, 전체 주식(4억272만9천875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00045%에 그치는 수준이었습니다.
나머지 약 4억273만 주가 사실상 100%나 다름없는 수준으로 기관이 빌릴 수 있는 주식 물량(대차물량)이었습니다.
주식 대여를 위해 올 상반기 신용대주서비스나 증권사의 차입서비스에 가입한 개인의 수는 약 1만 9천 명인 반면, 증권사로부터 주식을 빌린 기관의 수가 4천 500여 개입니다.
개인별 대주 물량이 상대적으로 더욱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주식을 일단 빌려서 판 뒤 주가가 내려가면 주식을 사서 갚는 방식으로 차익을 실현하는 투자 기법입니다.
금융당국은 그간 공매도가 기관을 중심으로 이뤄져 불공평하다는 비판이 나오자 신용대주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사 수를 6개사에서 17개사로 확대함과 동시에 대주물량도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었습니다.
최근 대주물량의 시가총액은 금감원이 오는 11월까지 확보하겠다며 제시한 목표치에 아직 한참 모자라며, 6월 말 기준 대주물량의 시가총액은 8천627억원으로 금감원 목표치인 2조4천억원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35%)입니다.
올 상반기 개인이 주문한 공매도 금액(4천867억원)은 대주 물량 시총보다 적은 편이어서 공급에 큰 차질은 없으나, 2분기부터 공매도가 금지됐던 지난해(3천135억원)를 제외하면 개인의 공매도 주문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개인의 공매도 주문액은 2017년 2천219억원에서 2018년 7천668억원, 2019년 8천886억원으로 각각 245%, 15% 증가했습니다.
민형배 의원은 "공매도 제도의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개인과 기관 간의 기울어진 운동장에 대한 불만 때문에 불신이 큰 상황"이라면서 "금융당국은 개인 투자자가 공매도로
다만 개인투자자들의 공매도 확대보다도 의무상환기간 및 담보비율 통일, 무차입 공매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처벌 강화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는 기관과 외국인투자자에 비해 정보·자금력이 부족한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를 통해 수익을 내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