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맞벌이 부부 지원 방안 폭넓게 모색
맞벌이 4인 가족의 월평균 가계지출이 외벌이 보다 104만원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됨에 따라, 가구소득 하위 80%를 대상으로 국민지원금 지급을 준비하는 정부는 해당 부분을 고려해 맞벌이 가구의 정확한 소득 실태 파악에 나섰습니다.
오늘(11일)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분석에 따르면, 올해 1분기를 기준으로 전국 맞벌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660만6천858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외벌이 가구(가구원 수가 2인 이상이고 가구주가 취업상태이면서 맞벌이가 아닌 가구) 평균 소득(491만3천522원)을 170만원가량 웃도는 수준이지만, 맞벌이 가구의 가계지출 또한 외벌이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맞벌이 가구의 평균 가계지출은 476만5천340원이고, 이 가운데 소비지출은 340만3천779원인 반면에, 외벌이 가구 평균 가계지출은 378만9천843원, 소비지출은 282만7천766원이었습니다.
즉, 맞벌이가 외벌이보다 월평균 97만5천원을 더 지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아이가 있는 4인 가족의 경우 차이는 더 크게 벌어졌습니다.
아마 맞벌이의 경우 육아나 외식 등에 들어가는 필수 소비 비용이 외벌이보다 더 크기 때문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맞벌이 4인 가구의 월평균 가계지출은 565만219원으로, 외벌이 4인 가구(460만5천877원)보다 104만4천342원 많았습니다.
특히 자녀가 아직 어린 경우를 보았을 때, 외벌이 부부는 한쪽이 육아를 전담할 수 있지만 맞벌이는 육아 등의 돌봄 추가 비용이 더 들어간다는 점에서 부담될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맞벌이 4인 가족과 외벌이의 교육비 지출을 비교해보니 자녀 학원비 등 교육비에 월평균 22만2천951원을 더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베이비시터 비용 등이 포함되는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도 맞벌이 4인 가족이 외벌이보다 10만2천347원 많았습니다.
해당 통계가 전체 4인 가구 평균임을 고려하면 실제 미취학 아동이 있는 맞벌이 가구와 외벌이 가구의 돌봄 비용 격차는 더욱 커질 수 있겠습니다.
그 밖에도 외식비 등 음식·숙박비나 교통비, 통신비, 주거비 지출도 맞벌이가 외벌이보다 더 많았습니다.
그러므로 단순히 가구 소득이 높은 것이 가계 사정과 비례한다고는 볼 수 없겠습니다.
또한 경제활동의 주 연령대인 30~40대의 경우 특히 맞벌이 비중이 큽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배우자가 있는 가구는 1천233만2천가구로, 이 중 맞벌이 가구는 559만3천가구(45.4%)로 집계됐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배우자가 있는 가구 중 가구주가 40대인 경우, 맞벌이 가구 비중이 53.1%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30대(51.3%), 50∼64세(49.3%), 15∼29세(38.3%), 65세 이상(25.9%) 순으로 높았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범부처 태스크포스(TF)에서 맞벌이 가구의 소득 실태를 파악하는
이는 맞벌이 부부에 대해서는 국민지원금 소득 기준선을 높이는 등 보다 더 폭넓게 지원할 방안을 고려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되겠습니다.
다만 최근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지원금 지급 대상을 축소하거나 지급을 연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지원 관련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고 보입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