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아침 가벼운 복장으로 등산에 나선 50대 후반 남성 A씨가 출발한지 얼마되지 않아 쓰러졌다. 팔다리 한 쪽이 마비되고 말도 어눌하게 나왔다. 다행히 주변인의 도움으로 응급실에 방문한 A씨의 진단명은 '뇌졸중'이었다.
기온이 올라가면서 따뜻한 봄 날씨가 지속되나 싶었지만 비가 온 뒤 낮과 밤의 기온차가 10℃이상 벌어지는 일교차 심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우리 뇌혈관은 기온차가 클 때 가장 취약해지는데, 몸이 갑작스럽게 움츠러들 듯 뇌혈관도 수축되기 때문이다. 급격한 온도차 때문에 혈압이 급상승하거나 심하면 혈관벽이 터질 수도 있고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혈관이 막힐 수도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뇌졸중 진료인원은 약 61만명이며, 뇌졸중 환자의 약 80%가 60세 이상이라는 통계도 있다.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뇌경색과 뇌로 가는 혈관이 터지면서 출혈이 발생하는 뇌출혈이 있다. 뇌 손상 위치와 범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다. 발생 시 바로 심각한 증상을 느껴 응급실을 찾는 경우도 있지만, 일시적으로 증상이 호전되어 쉬니까 좋아졌다고 여겨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도 있다. 뇌졸중을 의심해봐야 하는 대표적인 증상은 몸의 한쪽이 마비가 되는 것, 언어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등이다.
박중현 인제대 상계백병원 신경과 교수는 "뇌졸중 의심환자가 뇌혈관이 터졌는지부터 확인하는 CT 촬영을 하고, 만약 혈관이 터진 것이 아닌 막힌 상황이라면 약물로 혈관을 뚫어주는 혈전용해치료부터 시도한다"고 말했다. 약물로도 혈관이 완전히 뚫리지 않는다면 스프링처럼 생긴 스텐트를 넣어 혈전을 끄집어내는 시술을 하여 물리적으로 혈관을 뚫어주는 시술을 한다. 뇌졸중 치료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방치할수록 뇌 손상이 심해져 운동장애나 언어마비 등 후유증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뇌졸중에서 골든타임이라는 시간 기준은 아직까지 죽고 살아있는 뇌가 치료를 기다리고 버틸 수 있는 기간이다. 산불이 났을 때 최대한 빨리 화재 진압을 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듯이,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겨우 버티고 있는 뇌를 최대한 많이 살리기 위해서는 치료 시작 시간이 빨라야 한다.
박중현 교수는 "뇌졸중 발생 후 치료 시작이 빠르면 빠를수록 더 많은 뇌 조직을 살릴 수 있고 당연히 그 결과도 좋다"며 "발생 후 4시간 보다는 3시간이, 3시간보다는 2시간이 지난 사람의 뇌가 살 수 있는 부위가 크므로 뇌졸중이 의심되면 무조건 빨리 병원에 내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뇌졸중 예방과 치료 후 생활습관에 가장 중요한 것은 '운동'이다. 가능하다면 걷는 것이 제일 좋다. 걷는 모습으로도 증상이 어떠한지 확인되며, 걷는 행동이 뇌를 자극해 인지기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출퇴근 시간이나 점심시간을 이용해 하루 30분 걷거나,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이용하기 등 몸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꼭 걷기가 아니더라도 어떤 종류의 운동이든 규칙적으로 한다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뇌졸중 예방하려면>
1. 뇌졸중의 대표 증상(갑작스러운 안면마비, 한쪽 팔다리 마비, 언어장애)을 숙지하고, 증상 발생했다면 곧바로 응급실로 간다.
2. 정기 건강검진을 통해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하고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이 발견되면 꾸준히 치료한다.
3. 무조건 금연한다. 술은
4.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한다.
5.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으로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한다.
6.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한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