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초구 강남역 인근 토이테일즈 인형병원에서 수술을 기다리고 있는 인형들.[사진 = 김정은 기자] |
#20대 후반 A씨는 중학생 때 쓰러져 후유증으로 한쪽 팔이 마비돼 병원에 1년간 입원했다. 재활 치료 선생님은 A씨에게 꿀벌 인형을 선물했다. 15년 후 A씨의 꿀벌 '친구'는 군데군데 헤지고 솜은 줄었다. A씨는 인형병원에 꿀벌 인형을 맡기고, 함께 커플 패딩까지 맞췄다. 비용은 몇십만원이 들었지만 상관없었다. 15년 지기 친구를 위해 기꺼이 지불할 수 있는 돈이었다.
김갑연 토이테일즈 대표(61)가 소개한 인형병원 '보호자'의 사연이다.
김 대표는 2017년부터 5년째 인형병원을 운영중이다. 인형병원에선 인형을 환자로, 의뢰인을 보호자로, 인형 수선 과정을 수술로 빗댄다.
인형병원을 찾는 의뢰인들에게 인형은 친구와 가족과 같은 삶의 동반자 혹은 추억 그 자체의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8일 방문한 서울 서초구 강남역 인근 토이테일즈 인형병원에는 한 B씨가 인형수술을 의뢰하고 있었다. B씨는 "추억이 담긴 인형이라 조금 겉모양이 망가졌다고 해서 버리기도 그렇고 해서 수술을 의뢰해볼까 해서 찾아왔다"고 밝혔다. 또 한 방 가득 쌓인 인형들 사이 수술을 기다리고 있는 인형들이 박스에 담겨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고 있었다.
↑ 수술 전과 수술 후 비교 사진.[사진 출처 = 토이테일즈 홈페이지] |
최소 5000원부터 70만~80만원이 드는 경우도 있다. '부르는 게 값'이란 비판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김 대표는 "모든 과정이 수작업이고 소재·원단 등을 맞추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월 50~100건은 꾸준히 의뢰가 들어온다. 대부분 자신들의 '추억'을 지키기 위한 사연을 갖고 있다고 한다. 고객은 주로 20대 후반이다. 김 대표는 "20대 후반이 인형 선물을 많이 받았던 세대인 영향도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지난 2017년 영업을 시작한 이후 고객수는 꾸준하다고 김 대표는 설명했다.
김 대표는 "애착이 강한 분들, 조금은 예민하신 분들이 많이 오시는 것 같다"며 "내 아이(인형)가 처음처럼 혹은 자신이 원하는 상태대로 유지됐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강하신 분들이다. 처음에 상담할 때 정확하게 어떤 부분이 어떻게 변하길 원하는지를 파악하고 수술을 진행한다"고 말했다.
인형병원은 서울에도 몇곳이 있지만 사업장 없이 카카오톡 등 SNS를 통해 영업하는 곳들도 적지 않다. '인형병원 안나'를 운영하는 안나(필명, 56)씨도 그 중 하나다.
안나씨는 "비록 카카오톡으로 의뢰를 받고 있긴 하지만 다들 소중한 추억이 있으신 듯 하다"라면서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아들 유품 인형 한쪽 눈이 빠진 것을 고치러 오신 고객"이라고 했다.
↑ 인형수술동의서.[사진 = 김정은 기자] |
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을 '키덜트' 문화와 연관이 깊다고 분석했다. 키덜트란 어린이(키드·kid)와 어른(어덜트·adult)의 합성어로 '아이들 같은 감성과 취향을 지닌 어른'을 지칭한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특히 인형병원을 찾는 사람들 중에 20대가 많은 건 지금의 '키덜트' 문화와 연관이 깊다고 볼 수 있다"며 "애착인형 등을 다시 복원해서 갖고 있으려고 하는 이유는 어렸을 때 마냥 행복하기만 했던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인형을 고친 결과물 자체가 엄청난 의미를 지난다기 보다는 인형을 수술에 맡기는 그
[김정은 매경닷컴 기자 1derland@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