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두 달 연속 3조 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연말 연초 급격히 올랐던 신용대출은 진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2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말 기준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681조6천357억 원으로 2월 말 678조1천705억 원보다 3조4천652억 원 증가했습니다.
작년 10월과 11월에 각각 7조 원대, 9조 원대를 기록한 증가폭이 작년 12월부터 3월까지 4개월 연속 3조∼4조 원대로 감소했습니다.
각종 규제로 신용대출 증가폭이 눈에 띄게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5대 시중은행의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3월 말 기준 135조3천877억 원으로 전월 대비 2천33억 원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작년 11월 신용대출 잔액이 전월보다 4조8천495억 원 늘어난 이후 12월(-433억 원), 1월(+1조5천918억 원), 2월(-556억 원)에 이어 3월 2천억 원 증가에 그치며 뚜렷한 진정세를 보였습니다.
은행들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발맞춰 대출 조이기에 나선 데다 최근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증가세가 주춤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주택 관련 대출은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월 말 기준 483조1천682억 원으로 2월말(480조1천258억 원)보다 3조424억 원 늘었습니다. 2월(3조7천579억 원)에 이어 두달 연속 3조 원 넘게 증가했습니다.
작년 8∼11월에 매달 4조 원대에 달했던 증가폭이 12월 3조 원대, 올해 1월 2조 원대로 줄어드는 듯했으나 2월과 3월에 다시 3조 원대로 커진 모습입니다.
특히 최근 전셋값 상승의 영향으로 수요가 급증한 전세자금대출만 따로 떼어보면, 3월 말 잔액(110조8천381억 원)이 2월말(108조7천667억 원)보다 2조714억 원 늘어나 두달 연속 증가폭이 2조 원대를 기록했습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전셋값 상승과 이사 시즌이 맞물려 전세자금대출 수요가 증가하면서 2월에 이어 3월에도 전세자금대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같은 주택 관련 대출 증가세는 최근의 금리 상승 흐름과 맞물려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시장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올랐습니다.
2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2.63%에서 연 2.66%로 0.03%포인트 상승해 작년 8월 이후 6개월 연속 오름세를 지속했습니다.
이는 전반적으로 CD(양도성예금증서) 금리, 은행채 금리 등 가계대출의 지표 금리가 오른 데다 가계대출 증가 속도 조절을 위해 은행들이 대출 가산 금리도 올렸기 때문입니다.
실제 지난달 시중은행들은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줄줄이 인상했습니다.
가장 먼저 신한은행이 지난달 5일부터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0.2%포인트씩 인상했고, NH농협은행도 지난달 8일부터 가계 주택담보대출 우대금리를 연 0.3%포인트 인하했습니다.
우리은행도 지난달 25일부터 '우리전세론'의 주택금융공사·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서 담보 대출에 적용하던 우대금리 폭을 기존 0.4%에서 0.2%로 낮추기로 했습니다.
가계 빚이 점점 불어나는 상황에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계속 상승하면 가계의 대출이자 부담이 점점 더 커집니다.
은행권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 계획에 맞춰 대출 증가 속도를 관리하기 위해 우대금리 축소 등으로
[표] 5대 시중은행 가계대출 현황 (단위:억 원)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