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사업이 취소될 처지였던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 사업이 기사회생했는데요.
그런데, 공사 재개를 위한 조치가 아니다보니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원전 업계는 앞으로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지 막막해 하고 있습니다.
오지예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집채만한 흙더미와 터 닦기도 제대로 안 된 허허벌판에 전봇대 2개가 세워져 있습니다.
신한울 3,4호기가 들어설 곳으로 면적만 124만 제곱미터, 축구장 173개 규모입니다.
▶ 스탠딩 : 오지예 / 기자
- "2023년 완공이 목표인데 보시는 것처럼 4년 동안 첫 삽 한 번 뜨지 못했습니다. "
정부의 탈원전 정책 때문인데, 일단 신한울 3,4호기 사업 허가 기간은 연장했습니다.
3,4호기 원자로 사전 제작비와 설계용역비, 부지 매입에 수천 억 원의 사업비를 쓴 한수원은 한숨을 돌렸습니다.
▶ 인터뷰 : 백승우 / 한국수력원자력 차장
- "한수원은 공기업으로서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수행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향후 정부의 정책 방침에 따라 후속 조치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
하지만 원전 건설을 위한 기간 연장이 아니다보니, 건설을 맡은 두산 중공업과 협력업체의 걱정은 여전합니다.
▶ 인터뷰(☎) : 원전 핵심 부품 가공업체 A사
- "무조건 견디라고 하는데 그게 견딜 수 있는 부분도 안 되고 일거리가 없으니까 (근무) 인원을 조정해야 해요."
▶ 인터뷰(☎) : 원전 핵심 부품 가공 업체 B사
- "한 달 매출이 없으면 바로 문을 닫아야 하거든요. 근데 (탈원전이) 3년째 가고 있으니…"
야당도 매몰비용만 최소 6500억원에, 조 단위의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법적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 인터뷰 : 김영식 / 국민의힘 탈원전·북원전 진상조사특별위원회 위원
- "대통령이 나서서 사과하고 신한울 3,4호기 재개 포기로 인한 모든 경제적 손실을 책임져야 할 것이다."
이런 가운데, 반핵 시민단체는 2017년에 백지화를 선언해놓고 사업 허가를 연장한 것은 정책 후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오지예입니다.
영상취재 : 구민회 기자
영상편집 : 이범성
#탈원전 #신한울3,4호기 #신한울1,2호기 #두산중공업 #한국수력원자력 #원전플랜트 #오지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