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검진의 활성화와 의료기술 발달에 힘입어 국내 직장암 5년 생존율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인 71.1%에 달한다. 이제는 단순히 생존율을 높이는 것 뿐만이 아니라 환자가 수술 후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삶의 질을 담보하는 치료방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직장암 환자들이 수술을 앞두고 가장 많이 걱정하는 문제가 항문을 살릴 수 있는지 여부다. 환자 입장에서는 가급적 인공항문(장루)를 달지 않고 생활할 수 있도록 항문 보존술을 원하지만, 암세포가 괄약근까지 침범한 경우라면 재발 방지를 위해 항문을 제거할 수 밖에 없다. 또한 항문을 보존할 경우 수술 후에 괄약근을 조절하는 기능이 떨어지면서 변실금이 생길 확률이 높은데, 이런 후유증을 피해 삶의 질을 높이려는 목적으로도 복회음 절제술이 널리 시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변실금 등의 후유증을 예방해 삶의 질을 높인다는 이유로 복회음 절제술을 선택하는 것에 신중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환자 상태에 따라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복회음 절제술을 시행할 수는 있지만, 삶의 질 저하를 우려해 항문 절제를 선택하는 것은 의학적 타당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강성범 교수 연구팀은 항문에 근접한 하부 직장암 환자 중 항문을 보존하는 '괄약근 보존술'을 받은 환자와 항문을 제거하는 '복회음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삶의 질을 비교했을 때 '괄약근 보존술'이 배뇨 기능과 남성 성기능, 신체에 대한 만족도 측면에서 우월하다는 연구결과를 8일 발표했다.
강성범 교수 연구팀은 2011년에서 2016년까지 국내 6개 병원에서 괄약근 보존술을 받은 268명의 환자와 복회음 절제술을 받은 74명의 환자를 3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수술 3년 후 포괄적 삶의 질 지수는 괄약근 보존술 그룹에서 64.2점, 복회음 절제술 그룹은 57.7점으로, 항문을 보존할 경우 삶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삶의 질 관련 설문을 항목별로 나눠 분석한 결과 차이가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배뇨기능과 남성 성기능, 신체에 대한 만족감에 있어서 괄약근 보존술을 받은 그룹이 월등했다. 수술 3년 후 배뇨장애 점수는 괄약근 보존술을 받은 그룹이 14점인 반면, 복회음 절제술을 받은 그룹에서는 23.3점에 달해 항문을 절제한 환자가 겪는 배뇨장애가 더 심각했다. 덧붙여 남성 성기능 장애 점수도 괄약근 보존술 그룹에서는 46점에 그쳤지만, 복회음 절제술 그룹에서는 72.9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배뇨장애 점수 및 남성 성기능 장애 점수는 수치가 높을수록 관련 기능이 떨어진다.
이는 항문을 보존하는 경우 배뇨와 성기능과 관련된 자율신경들도 보호되어 관련 장애를 겪을 확률이 낮고, 환자가 자신의 신체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가 높은 점도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편 장기 생존율은 변수들을 보정하기 전에는 괄약근 보존술이 우월했지만, 관련 인자들을 보정한 후 두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변수 보정 전 3년 생존율은 괄약근 보존술이 94.4%, 복회음 절제술이 89.2%였으며 5년 생존율은 괄약근 보존술이 92.2%, 복회음 절제술이 80.9%였다.
강성범 교수는 "기존에는 항문과 근접한 곳에 직장암이 발생하는 경우, 항문을 보존할 때 나타나는 변실금 등의 저위전방절제증후군이 삶의 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린다는 판단 하에 복회음 절제술을 주로 시행해 왔으며, 국내 외과의사들이 복회음 절제술의 선택에 신중한 경향이 있는 것과 달리 서구권에서는 광범위하게 권장되는 수술 방법이었다"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이어 "최근 항암방사선 치료 및 최소침습수술 발달에 힘입어 직장암 크기를 최소화한 후 괄약근 보존술을 시행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라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하부 직장암이라 하더라도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항문 보존술을 더욱 적극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