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에 따른 수면문제가 남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여성에서 두드러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우리 몸은 노화를 겪으며 젊을 때보다 잠의 효율이 떨어지는데, 노인 연령에서 그 정도가 심한 경우를 '노인 수면장애'라고 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불면증 △수면시간 감소 △주간 졸림 △수면 질 저하 △수면주기 지연 등이 있으며, 환자들은 만성적인 수면부족 상태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겪는다.
이러한 수면장애를 방치하게 되면 뇌졸중, 심장병 등 여러 중증질환의 위험을 증가시켜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치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실정인데, 노화에 따른 '자연적인 수면 질 저하'와 질환의 범주에 속하는 '수면장애'경계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연구팀(제1 저자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서승완 교수)은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국 노인의 수면 특성을 남녀로 구분해 분석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여성은 '하루 총 수면시간'이 2년 평균 4.22분씩 감소했으며, 잠드는 시간대는 연간 약 4분씩 느려졌고 수면효율(잠든 총시간 대비 실재 수면 시간의 비율)은 1년 마다 0.9%p씩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여성의 수면악화는 남성에서 해당 증상들에 대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것과 대조적이다. 이 밖에도 '주관적 수면의 질' 항목에서도 남성보다 여성의 감소 폭이 컸다. 연구는 무작위 추출된 정신장애나 신경질환이 없는 60세이상 한국 노인 4686명의 피츠버그수면질척도(PSQI) 검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뤄졌으며, 2년 주기로 6년간 추적 관찰해 수면패턴의 변화를 보고했다.
남성에서만 눈에 띄게 관찰되는 수면장애 항목은 '주간 졸림 악화' 한 가지로, 건강한 노인의 수면패턴 노화는 대부분 여성에서 두드러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노인 수면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성별이 주요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향후 연구에 중요한 근거가 될 전망이다.
김기웅 교수는 "이번 연구는 노화에 수반된 수면패턴 변화가 성별에 따라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규명했으며, 동양인 고령자의 수면을 장기간 추적한 최초의 대규모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다"며 "이를 근거로 노인 수면장애 기준이 객관화, 세분화된다면 맞춤형 수면장애 치료법 발전에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산업진흥원과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