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택담보대출'의 급등세에 대해 잇단 경고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은행권은 주택담보 대출 줄이기에 본격적으로 착수했습니다.
이성식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추이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0월 이후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매달 3조 원씩 증가하는 등 가파르게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진동수 / 금융위원장
- "주택담보대출 동향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시장 불안이 우려되면 대출기준 강화 등 선제적 대응방안을 강구 하겠습니다."
정부는 담보대출 급증이 수도권 주택시장의 과열을 부추겨 최악에는 '부동산 거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잇따른 '경고'에 시중은행들은 이미 부분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억제하기 시작했습니다.
하나은행은 최근 신용등급 9등급인 대출 고객에 대해 LTV, 즉 주택담보인정비율을 기준보다 10%포인트 하향 조정했습니다.
담보가 같더라도 신용이 낮으면 대출금 역시 줄이겠다는 얘기입니다.
뿐만 아니라 신용도 최하위 등급인 10등급 고객은 아예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하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올리거나, 미분양이 예상되는 아파트의 담보인정비율을 낮추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주택담보대출 '옥죄기'의 부작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던 금리가 꿈틀대면 부채 상환 능력이 부족한 서민들에게는 '이자 폭탄'이 될 수 있습니다.
가뜩이나 얼어붙은 지방 미분양 주택 시장에도 '치명타'가 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에 돈이 몰린다고 금리를 올리면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적절하지 않다고 조언합니다.
무조건적으로 대출을 줄이기보다는 버블세븐 등 과열 조짐을 보이고 수도권 주택 시장을 겨냥한 정교한 대책을 고민해봐야 한다는 뜻입니다.
MBN 뉴스 이성식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