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확산 사태 전후 음주 상대의 변화. [자료 제공 = 식품의약품안전처] |
↑ 코로나19 확산 전후 음주장소의 변화. [자료 제공 = 식품의약품안전처] |
다만 과음·폭음·만취 등 건강에 해가 되는 수준의 고위험음주를 경험한 비율은 늘었다. 또 고위험음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혼자 마시는 '혼술'과 집에서 마시는 '홈술'도 증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달 4~11일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5세 이상 국민들 중 최근 6개월 이내 주류 섭취 경험이 있는 2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우선 코로나19 확산을 전후해 술을 마시는 빈도에 변화가 있다는 응답비율은 35.7%이었으며, 빈도 별로는 ▲매일 마시는 경우는 2%에서 1.2% ▲주 5~6회 마시는 경우는 3.8%에서 2.7% ▲주 3~4회 마시는 경우는 12.9%에서 6.4% ▲주 2회 마시는 경우는 19.7%에서 15.5%로 각각 감소했다.
술을 마시는 장소도 변했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36.2%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에는 주점·호프집(82.4%)이나 식당·카페(78.9%) 등 주로 외부시설에서 술을 마셨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술을 마시는 장소가 자신의 집(92.9%), 지인의 집(62.9%), 식당·카페(35.8%) 순으로 바뀌었다.
술을 함께 마시는 상대가 바뀌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20.3%였다. 코로나19 확산 사태 이전에는 친구·선후배(90%)나 직장 동료(72.8%)와 함께 술을 마셨다는 응답이 많았고,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에는 혼자(81.9%)나 가족·배우자(76.7%)로 변했다.
이에 따라 술을 마시는 상황이 변했다고 응답한 22.2%는 이전에는 친목(74.9%)이나 회식(67.3%) 때문에 술을 마셨지만,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계기로 혼자 있을 때(70%)나 TV·콘텐츠를 소비할 때(43%), 스트레스 해소가 필요할 때(40%) 술을 찾은 것으로 조사됐다.
식약처는 혼술과 홈술이 고위험 음주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실제 지난 2017년과 비교해 고위험음주를 경험한 비율이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대에서의 고위험음주 경험 비율이 지난 2017년 39.8%에서 올해 66.5%로 크게 증가했다. 고위험 주를 경험한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30대였으며, 남성(67.2%)이 여성(59.7%)보다 고위험음주 비율이 높았다.
다만 1회 평균 음주량은 3년 전보다 전반적으로 줄었다. 올해 1회 평균 음주량은 소주 5.4잔, 맥주 4.4잔, 탁주 2.7잔, 과실주 2.9잔으로 조사됐다. 3년 전보다 소주와 맥주는 감소했고, 탁주와 과실주는 늘었다.
여러 종류의 술을 섞어 마
[한경우 매경닷컴 기자 case1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