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르노삼성차는 지난 2013년 국내 최초로 양산·판매를 시작했던 국내 유일의 준중형급 전기자동차 SM3 Z.E.의 판매를 이달로 종료한다고 15일 밝혔다.
2013년 7월 사전예약을 시작하고 같은 해 11월 1일 첫 일반 고객인도를 시작했던 SM3 Z.E.는 올해 12월까지 총7371대가 판매되고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SM3 Z.E.는 출시 이후 2년이 지난 2015년 11월까지 누적 1604대가 팔리며 당시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으며 첫 법인고객 판매로 LG화학 및 LG 그룹에 업무용과 카쉐어링 용도로 공급되기도 했다.
르노삼성차는 SM3 Z.E.를 통해 한국 전기차 시장의 선구자로서 역할을 했다. 출시와 함께 전기차 네트워크 확장 및 전기 택시 본격 보급에도 앞장서 왔다. 출시 당시부터 전기차 민간보급을 실시하는 전국 16개 지자체에 전기차 전담 파일럿을 배치하고 전기차 전문 AS센터를 226개로 확대 구축하는 한편, 배터리 수리 센터를 제주도에 추가 설립하기도 했다.
SM3 Z.E.는 출시 당시 하나의 충전 소켓으로 완속과 급속 충전이 모두 가능한 시스템을 갖춰 충전이 쉬웠을 뿐 아니라 유일하게 배터리 급속교환 시스템을 채용해 택시와 카쉐어링 서비스 등 전기차 비즈니스 측면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SM3 Z.E.는 국내 유일의 5인승 준중형 세단형 전기차로 넉넉한 실내공간과 세련된 인테리어가 특징이엇다. 초기 135㎞에 머물렀던 1회 충전 시 주행 거리는 2018년형 개선을 통해 당시 기준 국내에서 가장 긴 213㎞까지 확장됐다. 특히 정부 보조금 지원을 받을 경우 200만원 전후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하기도 했다.
SM3 Z.E.의 역할은 르노 조에(ZOE)가 이어받게 된다. 조에는 유럽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전기차다. 르노 조에의 완충 시 주행 가능 거리는 309㎞다. 100킬로와트급 최신 R245 모터를 장착해 최고출력 13
김태준 르노삼성차 영업본부장은 "SM3 Z.E.는 한국 전기차 역사에서 중요하고 의미있는 역할을 담당해왔다"며 "앞으로 르노 조에와 트위지와 같은 모델들을 통해 SM3 Z.E.가 만들어온 성과들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동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