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넥신이 전략적 투자자로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대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툴젠 주식을 매입해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하기로 결정했다.
11일 제넥신은 툴젠 주요 주주들과의 주식 교환과 주식 매입 그리고 유상증자에 참여해 툴젠 지분의 16.64%를 취득한다고 밝혔다. 툴젠의 기존 최대주주였던 김진수 박사는 2대 주주로서 지속적으로 툴젠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전략을 지원하게 된다.
제넥신과 툴젠은 이번 지분투자를 토대로 우선적으로 사업협력 기회를 제공하는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들은 각 회사가 가지고 있는 역량으로 상호 보완을 하고 기술 융합을 통한 시너지를 극대화하면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블록버스터급 신약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제넥신은 고형암 대상의 동종유래 CAR-T세포치료제 개발을 가시화할 계획이다. 이 치료제 개발에는 타인의 T세포가 환자 몸에 들어갔을 때 발생하는 면역거부 반응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툴젠이 보유하고 있는 유전자 교정 기술을 이용해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을 적극 활용해 난치병을 치료하는 세포치료제 및 유전자 치료제 신약개발을 이어갈 예정이다.
성영철 제넥신 대표는 "이번 전략적 투자는 제넥신이 꾸준히 추진하고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일환이며, 툴젠의 유전자 교정기술을 도입해 동종유래 CAR-T세포치료제를 개발할 것"이라며 "다양한 난치성 질환에도 적용해 신규 유전자 치료제 등 미래전략 파이프라인 개발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이뤄진 툴젠에 대한 제넥신의 투자로 툴젠의 지배구조가 개선되고 재무 안정성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 선순환으로 툴젠이 기존에 진행하던 기술개발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할 수 있게 돼 코스닥 이전 상장 등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병화 툴젠 대표이사는 "이번에 제넥신이 툴젠의 최대주주로 등극하게 된 주주간 거래는 회사의 재도약을 간절히 원해온 김진수 창업자 및 기관투자자들의 회사를 위한 결단과 툴젠의 보유기술 및 시너지 기대 효과를 높게 평가해 준 제넥신의 전
[박윤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