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연말을 앞두고 시중은행에 다시 강하게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주문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이 아예 대출문을 하나씩 닫고 있는 모양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4일 금융감독원은 부원장보 주재로 시중은행 가계대출 담당 임원들 대상 '가게 대출 관리 동향 및 점검' 화상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금감원측은 지난달 신용대출을 포함한 가계대출이 다시 급증한 사실을 지적했다.
금감원은 "10월과 달리 11월 가계대출 관리가 잘되지 않은 것 같다"며 "당초 9월 제출한 연내 가계대출 총량 관리목표를 반드시 지켜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월 한 달에만 9조4195억원(657조5520억→666조9716억원) 급증했다. 10월 증가액(7조6611억원)보다 약 2조원 많은 규모다.
특히 신용대출의 경우 금융당국이 지난달 13일 연봉 8000만원 이상 고소득자의 1억원이 넘는 신용대출 등에 대한 규제를 예고한 뒤 '규제 시행에 앞서 일단 받아 놓자'는 가(假)수요가 몰리면서 4조8495억원(128조8431억→133조6925억원)이나 불었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도 4조1천354억원(466조2884억→470조4038억원) 증가했다.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이같은 압박에 가계대출 추가 규제를 서두르고 있다.
KB국민은행은 당장 이날부터 연말까지 대출상담사를 통한 주택담보·전세대출 모집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비대면 신용대출 주력 상품인 '우리 WON하는 직장인대출' 판매를 오는 11일부터 중단한다.
하지만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 내부적으로 각 상품의 대략적 수요를 예상해 연간 한도를 설정해두기는 하지만, 이 한도를 넘었다고 반드시 상품 판매를 멈춰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주력 신용대출 상품을 한도를 이유로 막는다는 것은 그만큼 현재 대출 총량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얘기"라고 덧붙였다.
하나은행도 조만간 의사·변호사 등 전문직에 대한 대출한도를 더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회사원 A씨는 "은행 대출이 계속 까다로와지고 있다"며 "급전이 필요할 때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하다"고 말했다.
자영업을 하는 B씨도 "은행서 대출 받기가 어렵다 보니 사채를 써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들 정도"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상규 기자 boyondal@mkinternet.com]
![]() |
↑ 은행권, 일주일 앞서 고액 신용대출 대상 규제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1억원을 웃돌거나 연봉의 두 배 넘는 고액 신용대출이 23일부터 막힌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다음 주부터 강화된 가계대출 관리방안 시행에 들어가는 가운데, 은행권이 일주일 앞선 이날부터 스스로 신용대출 '조이... |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