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전 세계 조선사 최초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방사선 품질검사(RT)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24일 대우조선해양은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에 필수적인 용접부의 품질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의 디지털 RT 검사 기술과 이를 구현하는 로봇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기존 RT검사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작업 효율을 높이고 방사선 노출 위험을 감소시켰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기술은 선박과 해양플랜트 구조물의 다양한 형상을 대상으로 용접부 위치를 3D 모델링을 통해 정확히 파악하고, AI 기반으로 비파괴검사 정보를 수집해 용접 품질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축적된 데이터는 통합관리 플랫폼에 저장된다.
그동안 조선업계에서는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에 필요한 용접부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름을 활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RT 검사 기술을 적용해왔다. 그만큼 검사 절차가 복잡하고 많은 인력이 투입된다. 또 검사 결과를 확인하려면 필름 현상 등의 작업 시간도 든다.
최동규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장(전
[송광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