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통화 공급 증가의 파급 효과와 코로나19 경제위기 [자료 제공 = KDI] |
9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통화 공급 증가의 파급 효과와 코로나19 경제 위기'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경제 정책이 실물 경기의 회복에는 기여하지 못한 채 통화량을 빠르게 늘려 자산 가격만 상승시켰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최근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한 확장적 통화·재정정책과 금융안정 정책으로 통화 공급이 늘면서 경제 전반의 통화량을 나타내는 광의통화(M2)는 지난 2분기 기준으로 1년 전보다 9.7% 상승했다.
이 기간 한국은행은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했고 정부는 네 차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했으며, 민생금융 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한 82조원 규모의 유동성 공급이 이뤄졌다.
이처럼 통화량이 증가할 때 공급이 함께 늘지 못하면 자산 가격은 빠르게 상승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주택시장의 경우 실물경제 부문과 달리 공급이 탄력적으로 반응하지 못해 통화 공급 증가의 영향이 단기적인 가격 상승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KDI는 과거 실증 분석을 통해 통화량이 1.0% 증가할 때 주택가격이 1년에 걸쳐 0.9% 정도 상승하는 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정대희 연구위원은 "주택 가격은 통화량 증가에 따라 단기적으로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